•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의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통해 본 한국적 기술경영학의 정체성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9.25
최종 저작일
2023.08
3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8,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기술경영경제학회 수록지정보 : 기술혁신연구 / 31권 / 3호
저자명 : 정태현, 권규현, 권영일, 박현규, 이규태, 전정환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기술경영학의 학제적 전통과 교육기관
1. 기술경영학의 태동과 발전
2. 기술경영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정의
3. 한국의 기술경영학 교육기관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과 결과
1. 기술경영학의 지식기반과 교재 분석
2. 기술경영학의 지식기반과 교재 분석
3. 기술경영학 핵심교과목
4. 대학별 심층 사례 분석
Ⅴ. 토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기술경영학은 1960년대 미국 공공연구기관의 체계적 연구관리(R&D) 필요성과 영국 고등교육기관의 관련 학술지 창간 등에 의해 태동된 후 현재는 전 세계 809개 이상, 국내 19개 이상의 기관에서 연구와 교육활동을 수행할 정도로 크게 확산되었다. 특히,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산업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정부예산을 투입해 단기간 내에 양적·질적으로 대학원 수준의 기술경영 인력양성 체계가 자리 잡게 되었다. 한국의 기술경영학 교육과정은 현장중심형 교육과정 운영, 교육기관 간 표준화와 동형화, 인접학문과의 친연성 등에 있어 해외의 기관과는 다른 경로와 차별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술경영학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정체성과 차별성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경영학의 주요 교재 11종(한국어 3종, 영어 8종)을 분석하여 기술경영학의 교과과정의 주요 내용을 7개 주제영역으로 구분하고 인접학문과의 차별성, 기술경영학의 정의적 특성에 관해 논하였다. 다음으로는 기술경영 대학원과정을 운영하는 한국의 9개 대학원 교과과정을 7개 주제영역에 투사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대학원 교과과정은 기업에서의 기술경영의 운영 측면, 산업별/기술별 기술경영, 산학연계 프로젝트/ 세미나에 62.5%의 교과목이 배정되어 있었다. 즉, 한국적 기술경영 교육과정은 지역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중간관리자급의 기술경영 실행인재의 양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경영 교과과정의 분석 토대 위에 한국의 산업발전단계를 고려한 향후 기술경영학 교육의 발전방향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즉, 기술과 혁신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론, 기업 기술경영의 운영만이 아니라 전략적 측면, 기술경영의 경제사회적 맥락에 대한 교육과정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영어 초록

The field of Management of Technology(MOT) emerged in response to the need for research management within U.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during the 1960s. Since its inception, it has proliferated significantly, being practiced in more than 809 institutions globally and over 19 institutions in Korea, encompassing both research and educational endeavor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substantial investment of government resources, primarily channeled through the Ministry of Industry since 2007, which has expeditiously established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ultivating graduate-level MOT expertise, mark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dvancements.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realm of Korean MOT deviates from foreign counterparts through distinctive pathways, exemplified by its emphasis on industry practice-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standardization and isomorphism across different schools, as well as its interconnectedness with proximate academic disciplines.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undertakes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in Korean MOT graduate schools, thereby ascertaining its intrinsic identity and distinct attributes. In this endeav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eleven principal MOT textbooks(three in Korean and eight in English) is conducted to delineate the primary content of the curriculum across seven thematic domains. Moreover, the study deliberates on its differentiation from neighboring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definitional attributes of MOT. Subsequently, this analysis also encompasses nine Korean MOT graduate programs, projecting the seven thematic domains onto their respective curricula. The findings illuminate that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graduate programs,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 curriculum, amounting to 62.5%, is dedicated to facets encompassing the operational aspects of technology management within corporate contexts, technology management specific to varying industries and technologies, and collaborative endeavors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in the form of projects and seminars. Evidently, the Korean approach to technology management education is notably gear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adept practitioners capable of executing technology management functions at a mid-tier managerial level, aligned with the exigencies of regional industries. Grounded in the analysis of technology management curricula, this study extrapolat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rajectory of MOT education in Korea, encompassing a consideration of the stages of industrial development. It underscores the necessity to augment the educational curricula pertaining conceptual foundation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strategic perspectives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technology manageme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의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통해 본 한국적 기술경영학의 정체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