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습모드

원하는 과목, 오답노트를 선택하여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단에서 과목을 선택 후 응시해보세요.

실전모드

실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전모드 시작 (180분)

1. 자격요약

자격명 :
산업안전기사
영문명 :
Engineer Industrial Safety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기사

2. 자격정보

□ 산업안전기사
응시 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업안전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산업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됨.
□ 주요특징
산업안전자격의 경우 산업안전기사가 최상급 자격으로 기술사급 자격은 없으나, 개별 시험과목명을 따라 인간공학기술사, 기계안전기술사, 전기안전기술사, 화공안전기술사, 건설안전기술사의 5개의 기술사가 있음.
안전관리가 필요한 사업장에서는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1~2명 이상의 안전관리자를 반드시 배치해야 함. 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으로는 대학에서 산업안전과 관련된 학과를 졸업하거나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들은 산업안전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여야 함.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유해 및 위험 방지, 사고 사례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사항과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 등을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등의 모든 제조업체, 안전 관리 대행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 등으로 활동 가능.

- 안전 관리 유해, 위험 작업 교육기관, 재해예방 전문 지도기관, 안전 관리 진단기관 등으로도 취업하여 컨설턴트로 활동 가능.

- 한국산업안전공단, 대한산업안전협회 등 관련 기관의 산업안전 기술 지원 부서로 진출 가능.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안전관리자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산업안전 분야의 인력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 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함.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 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 시 가산점.

- 공업 직렬의 일반 기계, 농업기계, 운전, 전기, 섬유, 화공 직류에서 채용 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 부여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자격이 주어지고, 안전 관리 대행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 가능.

-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건설 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고, 감리전문 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짐.

-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 활동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4,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되며, 제조(기계, 전기, 화공, 건설 등) 및 서비스 등 각 사업 현장에서의 안전 관리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관련 법령을 바탕으로 일반 지식, 전문 지식과 응용 및 실무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안전공학, 산업안전공학, 보건안전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의복, 전기· 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목재·가구·공예, 농림어업,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안전관리론
2)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3) 기계위험방지기술
4) 전기위험방지기술
5)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 건설안전기술

- 실기

1) 산업안전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55점) + 작업형(1시간 정도, 45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8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안전관리론
  • 1. 제일선의 감독자를 교육대상으로 하고, 작업을 지도하는 방법, 작업개선방법 등의 주요 내용을 다루는 기업내 교육방법은?

    • 1TWI
    • 2MTP
    • 3ATT
    • 4CCS
  • 2. 안전검사기관 및 자율검사프로그램 인정기관은 고용노동부장관에게 그 실적을 보고하도록 관련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그 주기로 옳은 것은?

    • 1매월
    • 2격월
    • 3분기
    • 4반기
  • 3. 다음 재해사례에서 기인물에 해당하는 것은?

    기계작업에 배치된 작업자가 반장의 지시를 받기 전에 정지된 선반을 운전시키면서 변속치차의 덮개를 벗겨내고 치차를 저속으로 운전하면서 급유하려고 할 때 오른손이 변속치차에 맞물려 손가락이 절단되었다.

    • 1덮개
    • 2급유
    • 3선반
    • 4변속치차
  • 4.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분리식 방진마스크의 성능기준에서 포집효율이 특급인 경우, 염화나트륨(NaCl) 및 파라핀 오일(Paraffin oil)시험에서의 포집효율은?

  • 5.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안전보건교육에서 방사선 업무에 관계되는 작업을 할 때 교육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 6. 주의의 수준이 Phase 0 인 상태에서의 의식상태는?

  • 7. 한 사람, 한 사람의 위험에 대한 감수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삼각 및 원 포인트 위험예지훈련을 통합한 활용기법은?

  • 8. 재해예방의 4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 적응기제(適應機制, Adjustment Mechanism)의 종류 중 도피적 기제(행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0. 인간오류에 관한 분류 중 독립행동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 11. 다음 중 안전·보건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2. 사고의 원인분석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3. 하인리히의 재해 코스트 평가방식 중 직접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4. 안전관리조직의 참모식(staff형)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의무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 및 설비가 아닌 것은?

  • 16. 안전교육방법 중 학습자가 이미 설명을 듣거나 시범을 보고 알게 된 지식이나 기능을 강사의 감독 아래 직접적으로 연습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은?

  • 17.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보건표지 종류 중 관계자외출입금지표지에 해당되는 것은?

  • 18. 국제노동기구(ILO)의 산업재해 정도구분에서 부상 결과 근로자가 신체장해등급 제12급 판정을 받았다면 이는 어느 정도의 부상을 의미하는가?

  • 19. 특정과업에서 에너지 소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 20.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틀린 것은?

2 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 21. 의도는 올바른 것이었지만, 행동이 의도한 것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 22. 시스템 수명주기 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것은?

  • 23.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게이트의 명칭은?

  • 24. FTA에서 시스템의 기능을 살리는데 필요한 최소 요인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 25. 쾌적환경에서 추운환경으로 변화 시 신체의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

  • 26. 염산을 취급하는 A 업체에서는 신설 설비에 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정성적 평가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에 해당하는 것은?

  • 27. 인간-기계시스템의 설계를 6단계로 구분할 때, 첫 번째 단계에서 시행하는 것은?

  • 28. 점광원으로부터 0.3m 떨어진 구면에 비추는 광량이 5 Lumen 일 때, 조도는 약 몇 럭스인가?

  • 29. 음량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3가지 척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30. 실린더 블록에 사용하는 가스켓의 수명은 평균 10000 시간이며, 표준편차는 200 시간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 사용시간이 9600 시간일 경우에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표준정규분표표에서 u0.8413=1, u0.9772=2 이다.)

  • 31. 음압수준이 70 dB인 경우, 1000 Hz에서 순음의 phon 치는?

  • 32. 인체계측자료의 응용원칙 중 조절 범위에서 수용하는 통상의 범위는 얼마인가?

  • 33. 동작 경제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34. 정신적 작업 부하에 관한 생리적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5. FMEA 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 36. 수리가 가능한 어떤 기계의 가용도(availability)는 0.9이고, 평균수리시간(MTTR)이 2시간일 때, 이 기계의 평균수명(MTBF)은?

  • 37.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제조업 중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사업의 사업주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고자 할 때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도면 및 서류 등은 제외한다.)

  • 38. 생명유지에 필요한 단위시간당 에너지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 39. 다음의 각 단계를 결함수분석법(FTA)에 의한 재해사례의 연구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정상사상의 선정
    ㉡ FT도 작성 및 분석
    ㉢ 개선 계획의 작성
    ㉣ 각 사상의 재해원인 규명

  • 40. 인간-기계시스템의 연구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 41. 휴대용 연삭기 덮개의 개방부 각도는 몇 도(°) 이내여야 하는가?

  • 42. 롤러기 급정지장치 조작부에 사용하는 로프의 성능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단, 로프의 재질은 관련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 43. 다음 중 공장 소음에 대한 방지계획에 있어 소음원에 대한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4. 와이어로프의 꼬임은 일반적으로 특수로프를 제외하고는 보통 꼬임(Ordinary Lay)과 랭 꼬임(Lang's Lay)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랭 꼬임과 비교하여 보통 꼬임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5. 보일러 등에 사용하는 압력방출장치의 봉인은 무엇으로 실시해야 하는가?

  • 46. 프레스 및 전단기에 사용되는 손쳐내기식 방호장치의 성능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4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연삭숫돌을 사용하는 작업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 48. 다음 중 산업용 로봇에 의한 작업 시 안전조치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49. 프레스 작업 시작 전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 50. 압력용기 등에 설치하는 안전밸브에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1. 유해·위험기계·기구 중에서 진동과 소음을 동시에 수반하는 기계설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2. 기능의 안전화 방안을 소극적 대책과 적극적 대책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적극적 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 53. 프레스기의 비상정지스위치 작동 후 슬라이드가 하사점까지 도달시간이 0.15초 걸렸다면 양수기동식 방호장치의 안전거리는 최소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 54. 컨베이어(conveyor) 역전방지장치의 형식을 기계식과 전기식으로 구분할 때 기계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55. 재료의 강도시험 중 항복점을 알 수 있는 시험의 종류는?

  • 56. 다음 중 프레스를 제외한 사출성형기·주형조형기 및 형단조기 등에 관한 안전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 57. 자분탐사검사에서 사용하는 자화방법이 아닌 것은?

  • 58. 다음 중 소성가공을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분류하는 가공온도의 기준은?

  • 59. 컨베이어 설치 시 주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다음 중 용접 결함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 61. 정전작업 시 작업 중의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

  • 62. 자동전격방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3. 인체의 전기저항 R을 1000Ω 이라고 할 때 위험 한계 에너지의 최저는 약 몇 J 인가? (단, 통전 시간은 1초이고, 심실세동전류 이다.)

  • 64. 다음 그림과 같이 완전 누전되고 있는 전기기기의 외함에 사람이 접촉하였을 경우 인체에 흐르는 전류(Im)는? (단, E(V)는 전원의 대지전압, R2(Ω)는 변압기 1선 접지, 제2종 접지저항, R3(Ω)은 전기기기 외함 접지, 제3종 접지저항, Rm(Ω)은 인체저항이다.)

  • 65. 전기화재가 발생되는 비중이 가장 큰 발화원은?

  • 66. 역률개선용 커패시터(capacitor)가 접속되어있는 전로에서 정전작업을 할 경우 다른 정전작업과는 달리 주의 깊게 할 경우 다른 정전작업과는 달리 주의 깊게 취해야 할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

  • 67.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68. 전기기기 방폭의 기본 개념이 아닌 것은?

  • 69. 대전물체의 표면전위를 검출전극에 의한 용량분할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대전물체의 표면전위 Vs는? (단, 대전물체와 검출전극간의 정전용량을 C1, 검출전극과 대지간의 정전용량을 C2, 검출전극의 전위를 Ve 이다.)

  • 70. 다음 중 불꽃(spark)방전의 발생 시 공기 중에 생성되는 물질은?

  • 71. 감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자를 구출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72.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에 콘센트를 시설하고자 한다. 이때 설치되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몇 mA 이하인가?

  • 73. 인체의 저항을 500Ω이라 할 때 단상 440V의 회로에서 누전으로 인한 감전재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누전 차단기의 규격은?

  • 74. 접지의 종류와 목적이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 75. 방폭 기기-일반요구사항(KS C IEC 60079-0)규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폭기기 설치 시 표준환경조건이 아닌 것은?

  • 76. 정격감도전류에서 동작시간이 가장 짧은 누전차단기는?

  • 77. 방폭지역 구분 중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정상상태에서 조성되지 않거나 조성된다 하더라도 짧은 기간에만 존재할 수 있는 장소는?

  • 78.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의하는 전압의 구분으로 틀린 것은?

  • 79. 피뢰기의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 80. 내압방폭구조의 필요충분조건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5 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 81. 위험물 또는 가스에 의한 화재를 경보하는 기구에 필요한 설비가 아닌 것은?

  • 8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지정한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중 화학설비의 부속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 83. 다음 중 반응기를 조작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4. 다음 중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할 위험이 가장 낮은 물질은?

  • 85. 다음 중 가연성 물질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6. 다음 중 열교환기의 보수에 있어 일상점검항목과 정기적 개방점검항목으로 구분할 때 일상점검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87. 헥산 1 vol%, 메탄 2 vol%, 에틸렌 2 vol%, 공기 95 vol%로 된 혼합가스의 폭발하한계 값(vol%)은 약 얼마인가? (단, 헥산, 메탄, 에틸렌의 폭발하한계 값은 각각 1.1, 5.0, 2.7 vol% 이다.)

  • 88. 이산화탄소소화약제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8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중 급성 독성물질에 관한 기준 중 일부이다. (A)와 (B)에 알맞은 수치를 옳게 나타낸 것은?

    - 쥐에 대한 경구투입실험에 의하여 실험동물의 50퍼센트를 사망시킬 수 있는 물질의 약, 즉 LD50(경구, 쥐)이 킬로그램당 ( A )밀리그램 - (체중) 이하인 화학물질
    - 쥐 또는 토끼에 대한 경피흡수실험에 의하여 실험동물의 50퍼센트를 사망시킬 수 있는 물질의 양, 즉 LD50(경피, 토끼 또는 쥐)이 킬로그램당 ( B )밀리그램 ~ (체중) 이하인 화학물질

  • 90. 분진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불활성첨가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 91. 다음 중 가연성 가스이며 독성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 92. 위험물질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93. 다음 중 인화성 가스가 아닌 것은?

  • 94. 다음 중 자연 발화의 방지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95. 인화성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하작업장에서 작업을 할 경우 폭발이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사항 중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96. 다음 중 가연성가스가 밀폐된 용기 안에서 폭발할 때 최대폭발압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97. 물이 관 속을 흐를 때 유동하는 물 속의 어느 부분의 정압이 그 때의 물의 증기압보다 낮을 경우 물이 증발하여 부분적으로 증기가 발생되어 배관의 부식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98. 메탄이 공기 중에서 연소될 때의 이론혼합비(화학양론조성)는 약 몇 vol% 인가?

  • 99. 고압의 환경에서 장시간 작업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잠함병(潛函病) 또는 잠수병(潛水病)은 다음 중 어떤 물질에 의하여 중독현상이 일어나는가?

  • 100. 공기 중에서 A 가스의 폭발하한계는 2.2vol%이다. 이 폭발하한계 값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 상태에서 A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체 1m3 에 함유되어 있는 A 가스의 질량을 구하면 약 몇 g 인가? (단, A가스의 분자량은 26 이다.)

6 과목 : 건설안전기술
  • 10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거푸집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2.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 검토사항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3. 건설현장에서 근로자의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그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 104. 달비계(곤돌라의 달비계는 제외)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105. 달비계의 구조에서 달비계 작업발판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 이어야 하는가?

  • 106. 건설업 중 교량건설 공사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 107. 구축물이 풍압·지진 등에 의하여 붕괴 또는 전도하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8. 철골건립준비를 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9. 건설현장에서 높이 5m 이상인 콘크리트 교량의 설치작업을 하는 경우 재해예방을 위해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0. 일반건설공사(갑)로서 대상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경우에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율(가) 및 기초액(나)으로 옳은 것은?

  • 111. 중량물을 운반할 때의 바른 자세로 옳은 것은?

  • 112.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몇 킬로그램 이상이어야 하는가?

  • 113. 다음 중 방망에 표시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 114. 강관비계 조립시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5.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116. 부두·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서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117. 건설작업장에서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갱내 작업장과 감광재료를 취급하는 작업장의 경우는 제외)

  • 118. 승강기 강선의 과다감기를 방지하는 장치는?

  • 119.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 120. 사질지반 굴착 시, 굴착부와 지하수위차가 있을 때 수두차에 의하여 삼투압이 생겨 흙막이벽 근입부분을 침식하는 동시에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르는 현상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