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자동차정비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Motor Vehicles Maintenanc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사

2. 자격정보

□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동차정비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은 운행 자동차 수의 증가로 정비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자동차정비의 효율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됨.
2012년부터 기존의 ‘자동차정비기능사’와 ‘자동차검사기능사’가 ‘자동차정비기능사’로 통합됨.
2017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자동차정비기능사는 각종 수동공구, 동력공구 및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엔진, 새시,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부위를 진단하고 알맞은 부품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창업

- 카센타(자동차부분정비업체), 카인테리어, 밧데리점, 튜닝전문점, 오토매틱전문점 등을 직접 개업하여 운영할 수 있음.

취업

- 주로 자동차 업체의 생산현장이나 판매 및 A/S부서, 외제차수입업체, 자동차정비업체 등에 취업.

- 카센터(자동차부분정비업체), 카인테리어, 밧데리점, 튜닝전문점, 오토매틱전문점 등에 진출 가능.

- 자동차부품업체, 중고차매매업체, 자동차검사업체 등에 취업 가능.

- 버스운송회사, 택시운송회사 등 자동차운수업체에 진출하여 활동 가능.

우대

- 카센터 등에서 자동차정비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 시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운전 직류에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자동차관리법에 의해 자격취득 후 자동차 정비 또는 검사분야에 3년 이상 근무할 경우 자동차운수사업체, 자동차점검정비업체의 정비책임자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09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2024년 4회 2024.08.20 ~
2024.08.23
2024.09.08 ~
2024.09.12
2024.09.25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4
2024.12.04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41,3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각종 공구 및 기기와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엔진, 섀시,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부위를 진단하고, 알맞은 부품으로 교체하거나 정비 및 검사, 안전사항 등을 준수하는 직무의 수행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자동차엔진
2) 자동차섀시
3) 자동차전기 및 안전관리

- 실기

1) 자동차정비 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4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240분

1 과목 : 자동차공학
  • 1. 가솔린 성분 중 이소옥탄이 80%, 노말 헵탄이 20% 일 때 옥탄가는?

    • 180
    • 270
    • 340
    • 420
  • 2. 가솔린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 배출가스 중 규제 대상이 아닌 것은?

    • 1CO
    • 2SO2
    • 3HC
    • 4NOx
  • 3. 분사펌프의 캠축에 의해 연료 송출 기간의 시작은 일정하고 분사 끝이 변화하는 플런저의 리드형식은?

    • 1양 리드형
    • 2변 리드형
    • 3정 리드형
    • 4역 리드형
  • 4. 라디에이터의 점검에서 누설 실험을 하기 위한 공기압은?

  • 5. 최대적재량이 15톤인 일반형 화물자동차를 15000 리터 휘발유 탱크로리로 구조변경승인을 얻은 후 구조변경 검사를 시행할 경우 검사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 6. 점화순서가 1-3-4-2인 직렬 4기통 기관에서 1번 실린더가 흡입 중 일 때 4번 실린더는?

  • 7. 부특성 흡기온도 센서(A.T.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 인젝터의 점검 사항 중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해야 하는 것은?

  • 9. 옥탄가를 측정키 위하여 특별히 장치한 기관으로서 압축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기관은?

  • 10. 기관의 오일펌프 사용 종류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 11. 피스톤 행정이 84mm, 기관의 회전수가 3000 rpm 인 4행정 사이클 기관의 피스톤 평균속도는 얼마인가?

  • 12. LPG 기관에서 액체 LPG를 기체 LPG로 전환시키는 장치는?

  • 13. 엔진 출력과 최고 회전속도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4. 흡입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하기위해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는?

  • 15.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 점검 방법으로 옳은 것은?

  • 16. 고속회전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에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 중 어느 것이 더 크게 만들어져 있는가?

  • 17. 활성탄 캐니스터(charocoal canister)는 무엇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하는가?

  • 18. 자동차 기관의 실린더 벽 마모량 측정기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19. 흡기 다기관 진공도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없는 것은?

  • 20. 100 PS의 엔진이 적합한 기구(마찰을 무시)를 통하여 2500kgf의 무게를 3m 올리려면 몇 초나 소요되는가?

2 과목 :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 21.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 기관에서 스로틀 바디 인젝터(TBI)방식 차량의 인젝터 설치 위치로 가장 적합한 곳은?

  • 22. 디젤 기관용 연료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 23. 기계식 분사시스템으로 공기유량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여 연료가 인젝터에서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시스템은?

  • 24.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관련 내용으로 틀린 것은?

  • 25. 선회 주행시 뒷바퀴 원심력이 작용하여 일정한 조향 각도로 회전해도 자동차의 선회 반지름이 작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26. 현가장치에서 스프링 강으로 만든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비틀림 탄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부품은?

  • 27.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센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8. 공기식 제동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부품은?

  • 29. 조향 핸들의 유격이 크게 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 30. 브레이크 장치에서 급제동 시 마스터 실린더에 발생된 유압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휠 실린더 쪽으로 전달되는 유압상승을 제어하여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는 장치는?

  • 31. 클러치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 32. 전자제어 조향장치의 ECU 입력 요소로 틀린 것은?

  • 33. 자동변속기에서 기관속도가 상승하면 오일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도 상승한다. 이 때 유합을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밸브는?

  • 34. 십자형 자재이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35. 기관의 회전수가 5500rpm이고 기관출력이 70PS이며 총 감속비가 5.5일 때 뒤 액슬축의 회전수는?

  • 36. 자동차의 타이어에서 60 또는 70시리즈라고 할 때 시리즈란?

  • 37. 주축기어와 부축기어가 항상 맞물려 공전하면서 클러치 기어를 이용해서 축상과 고정시키는 변속기 형식은?

  • 38.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적용 목적이 아닌 것은?

  • 39. 자동차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무엇인가?

  • 40. 그림과 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 페달을 40 kgf의 힘으로 밟았을 때 푸시로드에 작용되는 힘은?

3 과목 : 안전관리
  • 41. 전자제어 점화장치에서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순서는?

  • 42. PTC서미스터에서 온도와 저항값의 변화 관계가 맞는 것은?

  • 43. 점화키 홀 조명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4. 자동차 등화장치에서 12 V 축전지에서 30 W의 전구를 사용하였다면 저항은?

  • 45. 몇 개의 저항을 병렬 접속 했을 때 설명 중 틀린 것은?

  • 46. 와셔 연동 와이퍼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 47. 암 전류(parasitic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8. 자동차용 배터리의 급속 충전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49. 교류발전기에서 직류발전기 컷아웃 릴레이와 같은 일을 하는 것은?

  • 50. 기동전동기의 시험과 관계없는 것은?

  • 51. 연삭기를 사용하여 작업할 시 맞지 않는 것은?

  • 52. 기계가공 작업 중 갑자기 정전이 되었을 때 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 53. 작업현장에서 재해의 원인으로 가장 높은 것은?

  • 54. 렌치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 55. 다음 중 안전표지 색체의 연결이 맞는 것은?

  • 56. 엔진블록에 균열이 생길 때 가장 안전한 검사 방법은?

  • 57. 전조등의 조정 및 점검 시험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 58. 자동차 정비공장에서 호이스트 사용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 59.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가져야 할 태도 중 틀린 것은?

  • 60. 차량 밑에서 정비할 경우 안전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