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전기기사 기출문제 2005년 3회 (2005.08.07)

연습모드

원하는 과목, 오답노트를 선택하여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단에서 과목을 선택 후 응시해보세요.

실전모드

실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전모드 시작 (150분)

1. 자격요약

자격명 :
전기기사
영문명 :
Engineer Electricity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2. 자격정보

□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주로 전기기계 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
공사 현장에서 공사를 시공,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 발전,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 관리업무를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건설 현장, 전기공작물시설업체, 아파트 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 가능.

-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 가능.

-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 부서 등으로도 취업 가능.

- 송유관사업법에 의해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책임자로, 전기사업법에 의해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로 내 배전선로의 관리소를 직접 통할하는 사업장에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 취업 가능.

-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 국공립 전기 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 가능.

- 전기공학 기술자로서 전기부품, 장비, 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 담당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 직렬의 전기, 항공우주 직류, 해양수산 직렬의 수로, 해양교통시설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경찰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음.

자격부여

- 전기기사의 자격을 취득하면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안전관리 대행자로 활동이 가능하고,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등의 자격이 주어짐.

- 전력기술관리법에 의한 전력기술인으로 활동할 수 있고, 전력설계업 및 감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 성능 검사대행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전기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실기

1)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전기자기학
  • 1. 유전체 전도전류 ic와 변위전류 id가 흘러, 양 전류의 크기가 같게 되는 임계 주파수를 fc라 할때 임의의 주파수 f에 있어서의 유전체 역률 tanδ는 얼마인가?

    • 1f/fc
    • 2fc/f
    • 3fㆍfc
    • 4f2/fc
  • 2.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자계안에 놓으면, 이 도선에 힘이 작용한다. 평등 자계의 진공 중에 놓여 있는 직선 전류 도선이 받는 힘에 대하여 옳은 것은?

    • 1전류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 2도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 3자계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 4전류와 자계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탄젠트 각에 비례한다.
  • 3. 점전하와 접지된 유한한 도체 구가 존재할 때 점전하에 의한 접지 구 도체의 영상전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영상전하는 구 도체 내부에 존재한다.
    • 2영상전하는 점전하와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이다.
    • 3영상전하는 점전하와 도체 중심축을 이은 직선상에 존재한다.
    • 4영상전하가 놓인 위치는 도체 중심과 점전하와의 거리와 도체 반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 4. 반지름이 3cm인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는 환상 연철심에 코일을 감고, 여기에 전류를 흘려서 철심 중의 자계의 세기가 400AT/m 가 되도록 여자할 때 철심 중의 자속밀도는 약 몇 WB/m2인가?(단, 철심의 비투자율은 400이라고 한다.)

  • 5. 유전체내에서 변위전류를 발생하는 것은?

  • 6. 자계의 실효값이 1㎃/m인 평면 전자파가 공기 중에서 이에 수직되는 수직 단면적 10cm2를 통과하는 전력은 몇W인가?

  • 7. 공기 콘덴서의 극판사이에 비유전률 5인 유전체를 넣었을 때 동일 전위차에 대한 극판의 전하량은 어떻게 되는가?

  • 8. 대전 도체 표면의 전계의 세기는?

  • 9. 반지름이 a[m]이고 단위길이에 대한 권수가 n인 무한장 솔레노이드의 단위 길이당의 자기인덕턴스는 몇 h/m인가?

  • 10. 평등 자계를 얻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11. 공기중에 있는 지름 6㎝인 단일 도체구의 정전용량은 약몇 ㎊ 인가?

  • 12. 공기 중의 원점의 점전하에서 0.5m, 2m 거리의 전위가 각각 30V, 15V일 때 1m 거리인 점의 전위는 몇 V 인가?

  • 13. 환상 철심에 권수 NA인 A코일과 권수 NB인 B코일이 있을 때 코일 A의 자기인덕턴스가 LA[H]라면 두 코일간의 상호인덕턴스는 몇 H 인가? (단, A코일과 B코일간의 누설자속은 없는 것으로 한다.)

  • 14. 극판간격 d[m], 면적 S[m2]인 평행판 콘덴서에 교류전압 V = Vmsinωt [V]가 가해졌을 때 이 콘덴서에서 전체의 변위 전류느 몇 A 인가?

  • 15. 다음 중 투자율이 가장 큰 것은?

  • 16. 그림과 같이 무한 평면도체로부터 d[m] 떨어진 점에+Q[C]의 점전하가 있을 때 d/2[m]인 P점에 있어서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 인가?

  • 17. 평행도선에 같은 크기의 왕복 전류가 흐를 때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과 관계되는 것 중 옳은 것은?

  • 18. 자기 감자력(self demagnetizing force)이 평등 자화되는 자성체에서의 관계가 옳은 것은?

  • 19. 공간내의 한점의 자속밀도 B 가 변화할 때 전자유도에 의하여 유기되는 전계 E에 관련된 식으로 옳은 것은?

  • 20. 진공 중에 그림과 같이 한변이 a[m]인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서로 같은 점전하 +Q[C]이 있을 때 그 각 전하에 작용하는 힘 F는 몇 N 인가?

2 과목 : 전력공학
  • 21. 2회선의 송전선로가 있다. 사정에 의하여 그 중 1회선을 정지시켰다면 이 송전선로의 일반회로정수 B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 22. 유역면적이 4000km2인 어떤 발전 지점이 있다. 유역내의 연강우량이 1400㎜이고 유출계수가 75%라고 하면, 그 지점을 통과하는 연평균 유량은 약 몇 m3/s 인간?

  • 23. 초고압 장거리 송전선로에 접속되는 1차변전소에 분로리액터를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 24. 개폐 서지 이상전압의 발생을 억제 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 25. 평균 발열량 7100 ㎉/㎏의 석탄이 있다. 탄소와 회분으로 되어 있다면 회분은 약 몇 %인가?

  • 26. 교류 단상3선식 배전방식을 교류 단상2선식에 비교한면?

  • 27.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 차단기의 용량은 주로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해지는가?

  • 28. 제3고조파의 단락전류가 흘러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변압기 결선방식은?

  • 29. 경간이 200m인 가공 전선로가 있다. 사용 전선의 길이는 경간보다 약 몇 m 길어야 하는가? (단, 전선의 1m 당 하중은 2㎏, 인장하중은 4000㎏ 이고, 풍압하중은 무시하며, 전선의 안전율은 2라 한다.)

  • 30. 3상 전원에 접속된 △결선의 콘덴서를 Y 결선으로 바꾸면 진상용량은 △결선시의 몇 배로 되는가?

  • 31. 전압을 nqo 승압하면 부하전력과 역률이 같을 때 전력 손실과 전압강하율은 어떻게 되는가?

  • 32. 송전선로에서 역섬락을 방지하는 유효한 방법은?

  • 33. 250㎜ 현수애자 10개를 직렬로 접속한 애자연의 건조 섬락전압이 590KV이고 연효율(string effciency)이 0.74 이다. 현수애자 한 개의 건조섬락전압은 약 몇 KV 인가?

  • 34. 피뢰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5. 최소 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하는 계전기는?

  • 36. 지중 케이블에 있어서 고장점을 찾는 방법이 아닌 것은?

  • 37. 전력계통의 전압을 조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 38. 송 ㆍ 배전선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39. “수용률이 크다. 부등률이 크다. 부하율이 크다.” 라는 의미는?

  • 40. 수차의 조속기가 너무 예민하면 어떤 현상이 발생되는가?

3 과목 : 전기기기
  • 41. P[㎾], N[rpm]인 전동기의 토오크 [㎏ㆍm]는?

  • 42. 3상 변압기의 병렬 운전 조건으로 틀린 것은?

  • 43. 전력 변환 기기가 아닌 것은?

  • 44. 다음은 유도자형 동기발전기의 설명이다. 옳은 것은?

  • 45. 동기전동기에서 여자를 강화하면?

  • 46. 전기자 지름 0.2[m]의 직류발전기가 1.5[㎾] 출력에서 1800[rpm]으로 회전할 때 전기자의 주변속도[m/sec]는?

  • 47. 권선형 유도 전동기와 직류 분권 전동기와의 유사항 점 2가지는?

  • 48. 그림과 같은 단상 전파제어 회로에서 전원전압의 최대치가 2300[V]이다. 저항 2.3[Ω], 리액턴스 2.3[Ω]인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자 한다. 최대전력[㎾]는?

  • 49. 50[㎐], 6극, 200[V], 10[㎾]의 3상 유도 전동기가 960[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2차 주파수[㎐]는?

  • 50. 단상 반파 정류로 직류전압 100[V]를 얻으려고 한다. 최대역전압(Peak inverse voltage) 즉 PIV 는 몇[V] 이상의 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는가?

  • 51. 정격출력 50[㎾]의 정격전압 220[V], 주파수 60[㎐], 극수 4의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가 전부하에서 tm립 S=0.04, 효율 90[%]로 운전하고 있을 때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이중 틀린 것은?

  • 52. 전부하시 동손 90[W], 철손 40[W]의 변압기의 효율이 최대로 되는 부하는 전부하의 몇 [%]인가?

  • 53. 스테핑 모터의 속도-토크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54. 450[KVA], 역률 0.85, 효율 0.9되는 동기발전기 운전용 원동기의 입력[㎾]은?

  • 55. 직류 직권 전동기가 있다. 공급전압이 100[V], 전기자 전류가 4[A]일 때 회전속도는 1500[rpm]이다. 여기서 공급전압을 80[V]로 낮추었을 때 같은 전류에 대하여 회전 속도는 얼마로 되는가? (단, 전기자 권선 및 계자 권선의 전저항은 0.5[Ω]이다.)

  • 56. 전압 제어가 아닌 것은?

  • 57. 두 대이상의 변압기를 이상적으로 병렬 운전하려고 할 때 필요 없는 것은?

  • 58. 변압기 결선에서 제 3고조파 전압이 발생하는 결선은?

  • 59. 변압기 온도상승 시험을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 60. 3상 동기발전기의 매극 매상의 슬롯수를 3이라 할때 분포권 계수는?

4 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61. [V]의 실효치는 몇 [V]인가?

  • 62. 전류의 대칭분을 I0, I1, I2 유기 기전력 및 단자전압의 대칭분을 Ea,Eb,Ec 및 V0,V1,V2라 할 때 3상 교류발전기의 기본식 중 정상분 V1 값은?

  • 63. R=2[Ω], L=10[mH], C=4[㎌]의 직렬공진 회로의 Q는?

  • 64. 성형 결선의 부하가 있다. 선간 전압 300[V]의 3상 교류를 인가했을 때 선전류가 40[A]이고 그 역률이 0.8이라면 리액턴스[Ω]는?

  • 65. 최대값 V0, 내부 임피던스 Z0=R0+jX0(R0>0)인 전원에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은?

  • 66. e-atcosωt의 라프라스 변환은?

  • 67. 다음 회로의 전달함수 G(s)=E0(s)/Ei(s)는 얼마인가?

  • 68. 그림과 같은 4단자 회로망의 4단자 정수 중에서 C는 어떻게 되는가?

  • 69. R-L-C 직렬회로의 과도상태에서 저항의 값이 다음의 어느 값일 때 진동이 되는가?

  • 70. 다음 파형의 라플라스 변환은?

  • 71. 다음의 신호선도에서 Y(s)/D(s)를 구하면?

  • 72. G(s)=로 표시되는 제어계에서 ω가 아주 클때 ㅣ(jω)ㅣ사와 위상각은?

  • 73. 연산 증폭기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74. G(s)H(s)가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부궤환계에서 근궤적 점근선의 실수축과의 교차점은?

  • 75. 로 표현되는 시스템의상태 천이행렬(state-transition matrix) Φ(t)를 구하면?

  • 76. 는?

  • 77. 3차인 이산치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의 근이 -0.3, -0.2, +0.5로 주어져 있다. 이 시스템의 안정도는?

  • 78. 보드 선도에서 이득여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 79. 8개 비트(bit)를 사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에 있어서 출력의 종류는 몇가지가 되는가?

  • 80. 의 함수를 z 역변환하면?

5 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81.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도로등과 교차하여 도로 상부측에 시설될 경우에 보호망도 같이 시설하려고 한다. 보호망은 제 몇 종 접지공사로 하여야 하는가?

  • 82. 최대 사용전압이 154000V인 중성점 직접 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 V 인가?

  • 83. 다음 중 전선로의 종류가 아닌 것은?

  • 84. 조상기에 내부 고장이 생긴 경우, 조상기의 용량이 몇 KVA 이상일 때 전로로부터 자동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 85. 가공전선 및 지지물에 관한 시설기준 중 틀린 것은?

  • 86.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이 도로ㆍ횡단보도교ㆍ철도ㆍ궤도 또는 삭도와 교차하는 경우에는 통신선은 지름 몇 mm의 경동선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의 것이어야 하는가?

  • 87. 전기욕기의 전원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의 최대 한도는 몇 V인가?

  • 88. 제2차 접근상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89.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기준으로 맞는 것은?

  • 90. 고압 가공 전선로와 기설 가공 약전류 전선로가 병행되는 경우, 유도작용에 의해서 통신상의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선과 기설 가공 약전류 전선간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 m이상이어야 하는가?

  • 91. 관, 암거 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금속제의 전선 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는 금속체에 시행하는 접지공사의 종류는?

  • 92. 공장, 사무실, 학교 등에 시설하는 전체 조명용 전등은 부분 조명이 가능하도록 등기구 수 몇 개 이내의 전등군으로 구분하여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는가?

  • 93. 고ㆍ저압 혼촉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려고 시행하는 제2종 접지공사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 94. 가공 직류 전차선을 광산 기타의 갱도 안의 윗면에 시설하는 경우로서 몇 m 이상일 때 궤도면상의 높이를 5m 이상으로 하지 않아도 되는가?

  • 95. 금속관공사에서 절연 붓싱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 96. 옥내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를 넘는 방전관에 네온 방전관을 사용하고, 관등회로의 배선은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경우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97. 길이 16m, 설계하중 900㎏의 철근콘크리트주를 지반이 튼튼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지지물 기초의 안전율과 무관하려면 땅에 묻는 깊이를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98. 사용전압이 175000V인 변전소의 울타리ㆍ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ㆍ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99. 고압 가공인입선이 케이블 이외의 것으로서 그 아래에 위험표시를 하였다면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몇 m 까지로 감할 수 있는가?

  • 100. 건조한 곳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쇼윈도안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저압 옥내배선의 전선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