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공조냉동기계기사
영문명 :
Engineer Air-Conditioning Refrigerating Machinery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2. 자격정보

□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공조냉동기술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기술과 병합하여 활용 범위가 매우 넓고, 사용하는 공조냉동기계의 종류, 규모 및 피냉각물의 종류도 너무나 다양해서 이를 전문직으로 다룰 기술인력이 요구되므로, 냉동과 공기조화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공조냉동기계 및 설비의 기본적인 설계 및 운용을 담당할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공조 및 냉동기계장치의 설계, 설치, 시공, 정비, 관리유지, 보수, 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에서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을 관리하고,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관리규정을 시행하는 직무를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택, 토지개발, 도로, 가스안전, 가스 등 각종 공사, 냉동고압가스업체,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냉난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냉동고압가스업체,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저온유통업체, 식품냉동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정밀기계제조업체, 제약회사, 검사기관,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기술인력,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냉동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등으로도 취업 가능.

우대

- 공조냉동제조업체 등에서 채용 시 공조냉동기계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기계설계 관련 학과를 졸업한 경우 우대받을 수 있음.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난방시공업),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근로자의 보건·안전 지정교육기관,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 제조검사 및 설치검사 면제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냉동공조공학, 기계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기계열역학
2) 냉동공학
3) 공기조화
4) 전기제어공학
5) 배관일반

- 실기

1) 냉동 및 냉난방설계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3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80분

1 과목 : 기계열역학
  • 1. 그림과 같은 Rankine 사이클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h1 = 191.8kJ/kg, h2 = 193.8kJ/kg, h3 = 2799.5kJ/kg, h4 = 2007.5kJ/kg 이다.)

    • 130.3%
    • 239.7%
    • 346.9%
    • 454.1%
  • 2. 대기압 100kPa에서 용기에 가득 채운 프로판을 일정한 온도에서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2kPa 까지 배기하였다. 용기 내에 남은 프로판의 중량은 처음 중량의 몇 % 정도 되는가?

    • 120%
    • 22%
    • 350%
    • 45%
  • 3. 이상기체에서 엔탈피 h와 내부에너지 u, 엔트로피 s 사이에 성립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T는 온도, v는 체적, P는 압력이다.)

    • 1Tds = dh + vdP
    • 2Tds = dh - vdP
    • 3Tds = du - Pdv
    • 4Tds = dh + d(Pv)
  • 4. 온도가 150℃인 공기 3kg이 정압 냉각되어 엔트로피가 1.063kJ/K 만큼 감소되었다. 이때 방출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이다.)

  • 5. 20℃의 공기 5kg이 정압 과정을 거쳐 체적이 2배가 되었다. 공급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kJ/kgㆍK이다.)

  • 6. 공기 1kg을 정적과정으로 40℃에서 120℃까지 가열하고, 다음에 정압과정으로 120℃에서 220℃까지 가열한다면 전체 가열에 필요한 열량으로 적절한 것은? (단, 정압비열은 1.00kJ/kgㆍK, 정적비열은 0.71kJ/kgㆍK 이다.)

  • 7. 온도 T2인 저온체에서 열량 QA를 흡수해서 온도가 T1인 고온체로 열량 QB를 방출할 때 냉동기의 성능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는?

  • 8. 다음 중 수소(H2)를 이상기체로 생각하였을 때, 절대압력 1MPa, 온도 100℃에서의 비체적은 약 몇 m3/kg인가? (단, 일반기체상수는 8.3145 kJ/kmolㆍK 이다.)

  • 9. 비열비가 k인 이상기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정압과정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시스템이 한 일이 W, 시스템에 전달된 열이 Q일 때, W/Q는 얼마인가? (단, 비열은 일정하다.)

  • 10. 밀폐계의 가역 정적변화에서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U : 내부에너지, Q : 전달된 열, H : 엔탈피, V : 체적, W : 일 이다.)

  • 11. 카르노 열기관 사이클 A는 0℃와 100℃ 사이에서 작동되며 카르노 열기관 사이클 B는 100℃와 200℃사이에서 작동된다. 다음 중 사이클 A의 효율(ηA)과 사이클 B의 효율(ηB)을 각각 구하면?

  • 12. 다음 중 밀도 1000kg/m3인 물이 단면적 0.01m2인 관속을 2m/s의 속도로 흐를 때, 질량유량은?

  • 13. 열역학적 상태량은 일반적으로 강도성 상태량과 용량성 상태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강도성 상태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4. 질량 1kg의 공기가 밀폐계에서 압력과 체적이 100kPa, 1m3이었는데 폴리트로픽 과정(PVn= 일정)을 거쳐 체적이 0.5m3이 되었다. 최종 온도(T2)와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U)은 각각 얼마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287J/kgㆍK, 정적비열은 718J/kgㆍK, 정압비열은 1005J/kgㆍK, 폴리트로프 지수는 1.3이다.)

  • 15. 냉동실에서의 흡수 열량이 5 냉동톤(RT)인 냉동기의 성능계수(COP)가 2, 냉동기를 구동하는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이 20%, 가솔린의 발열량이 43000kJ/kg 일 경우, 냉동기 구동에 소요되는 가솔린의 소비율은 약 몇 kg/h인가? (단, 1 냉동톤(RT)은 약 3.86kW 이다.)

  • 16. 그림과 같이 중간에 격벽이 설치된 계에서 A에는 이상기체가 충만되어 있고, B는 진공이며, A와 B의 체적은 같다. A와 B사이의 격벽을 제거하면 A의 기체는 단열비가역 자유팽창을 하여 어느 시간 후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이 경우의 엔트로피 변화 △s는? (단, Cv는 정적비열, Cp는 정압비열, R은 기체상수이다.)

  • 17. 과열증기를 냉각시켰더니 포화영역 안으로 들어와서 비체적이 0.2327m3/kg이 되었다. 이때의 포화액과 포화증기의 비체적이 각각 1.079×10-3m3/kg, 0.5243m3/kg이라면 건도는?

  • 18. 냉동기 냉매의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19. 30℃, 100kPa의 물을 800kPa까지 압축한다. 물의 비체적이 0.001m3/kg로 일정하다고 할 때, 단위 질량당 소요된 일(공업일)은?

  • 20. 오토 사이클의 압축비가 6인 경우의 이론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비열비 = 1.4 이다.)

2 과목 : 냉동공학
  • 21.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의 감온통 설치방법으로 틀린 것은?

  • 22. 흡수식 냉동기에서의 냉각원리로 옳은 것은?

  • 23. 15℃의 순수한 물로 0℃의 얼음을 매시간 50kg 만드는데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약 몇 냉동톤인가? (단, 1 냉동톤은 3320kcal/h이며, 물의 응축잠열은 80kcal/kg이고, 비열은 1kcal/kgㆍ℃이다.)

  • 24.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 25. 압축기 실린더의 체적효율이 감소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26. 두께 30cm의 벽돌로 된 벽이 있다. 내면의 온도가 21℃, 외면의 온도가 35℃일 때 이 벽을 통해 흐르는 열량은? (단, 벽돌의 열전도율 K는 0.793 W/mㆍK이다.)

  • 27. 동일한 냉동실 온도조건으로 냉동설비를 할 경우 브라인식과 비교한 직접팽창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8. 흡수식 냉동기에서 냉매의 과냉 원인이 아닌 것은?

  • 29. 다음 그림은 이상적인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각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0. 압축기에 사용되는 냉매의 이상적인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 31. 다음 중 냉동장치의 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2. 냉매배관 중 액분리기에서 분리된 냉매의 처리방법으로 틀린 것은?

  • 33. 실내 벽면의 온도가 -40℃인 냉장고의 벽을 노점 온도를 기준으로 방열하고자 한다. 열전도율이 0.035kcal/mㆍhㆍ℃인 방열재를 사용한다면 두께는 얼마로 하면 좋은가? (단, 외기온도는 30℃, 상대습도는 85%, 노점온도는 27.2℃, 방열재와 외기와의 열전달률은 7kcal/ㆍhㆍ℃로 한다.)

  • 34. 냉각수 입구온도 25℃, 냉각수량 1000L/min인 응축기의 냉각 면적이 80m2, 그 열통과율이 600kcal/m2ㆍhㆍ℃이고, 응축온도와 냉각수온의 평균 온도차가 6.5℃이면 냉각수 출구온도는?

  • 35. 역카르노 사이클에서 T-S선도상 성적계수 ε를 구하는 식은? (단, AW: 외부로부터 받은 일, Q1 : 고온으로 배출하는 열량, Q2 : 저온으로부터 받은 열량, T1 : 고온, T2 : 저온)

  • 36. 드라이어(dry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7. 다음 중 아이스크림 등을 제조할 때 혼합원료에 공기를 포함시켜서 얼리는 동결장치는?

  • 38. 압력-온도선도(듀링선도)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냉동사이클은?

  • 39. 증발식 응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0. 어떤 암모니아 냉동기의 이론 성적 계수는 4.75이고, 기계효율은 90%, 압축효율은 75%일 때 1냉동톤(1RT)의 능력을 내기 위한 실제 소요마력은 약 몇 마력(PS)인가?

3 과목 : 공기조화
  • 41. 다음 공기조화 장치 중 실내로부터 환기의 일부를 외기와 혼합한 후 냉각코일을 통과시키고, 이 냉각코일 출구의 공기와 환기의 나머지를 혼합하여 송풍기로 실내에 재순환시키는 장치의 흐름도는?

  • 42. 공기 중에 떠 다니는 먼지는 물론 가스와 미생물 등의 오염 물질까지도 극소로 만든 설비로서 청정 대상이 주로 먼지인 경우로 정밀측정실이나 반도체 산업, 필름 공업 등에 이용되는 시설을 무엇이라 하는가?

  • 43. 덕트 시공도 작성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44. 아래의 그림은 공조기에 ① 상태의 외기와 ② 상태의 실내에서 돌아온 공기가 공조기로 들어와 ⑥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는 과정을 습공기 선도에 표현한 것이다. 공조기 내 과정을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45. 공장의 저속 덕트방식에서 주덕트 내의 권장풍속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46. 송풍량 2500m3/h 공기(건구온도 12℃, 상대습도 60%)를 20℃까지 가열하는 데 필요로 하는 열량은? (단, 처음 공기의 비체적 v = 0.815m3/kg, 가열 전후의 엔탈피는 각각 h1 = 6kcal/kg, h2 = 8kcal/kg 이다.)

  • 47. 온풍난방에 관한 설명으로틀린 것은?

  • 48. 전압기준 국부저항계수 ζT와 정압기준 국부저항계수 ζS와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덕트 상류 풍속을 v1, 하류 풍속을 v2라 한다.)

  • 49. 가변풍량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0. 증기 보일러의 발생열량이 60000kcal/h, 환산증발량이 111.3kg/h이다. 이 증기 보일러의 상당방열면적(EDR)은? (단, 표준방열량을 이용한다.)

  • 51. 펌프의 공동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2.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량이 소비량에 비해 과잉일 경우 액화저장하고 증기량이 부족할 경우 저장 증기를 방출하는 장치는?

  • 53. 대규모 건물에서 외벽으로부터 떨어진 중앙부는 외기 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인체와 조명등 및 실내기구의 발열로 인해 경우에 따라 동절기 및 중간기에 냉방이 필요한 때가 있다. 이와 같은 건물의 회의실, 식당과 같이 일반 사무실에 비해 현열비가 크게 다른 경우 계통별로 구분하여 조닝하는 방법은?

  • 54. 공기조화방식에서 팬코일 유닛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5. 아네모스탯(anemostat)형 취출구에서 유인비의 정의로 옳은 것은? (단, 취출구로부터 공급된 조화공기를 1차 공기(PA), 실내공기가 유인되어 1차 공기와 혼합한 공기를 2차 공기(SA), 1차와 2차 공기를 모두 합한 것을 전동기(TA)라 한다.)

  • 56. 복사 패널의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7. 온도 20℃, 포화도 60% 공기의 절대습도는? (단, 온도 20℃의 포화 습공기의 절대습도 xs = 0.01469kg/kg이다.)

  • 58. 외기 및 반송(return)공기의 분진량이 각각 CO, CR이고, 공급되는 외기량 및 필터로 반송되는 공기량은 각각 QO, QR이며, 실내 발생량이 M이라 할 때 필터의 효율(η)은?

  • 59. 각층 유닛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 60. 공기조절기의 공기냉각 코일에서 공기와 냉수의 온도변화가 그림과 같았다. 이 코일의 대수평균 온도차(LMTD)는?

4 과목 : 전기제어공학
  • 61. 100V, 6A의 전열기로 2L의 물을 15℃에서 95℃까지 상승시키는 데 약 몇 분이 소요되는가? (단, 전열기는 발생 열량의 80%가 유효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 62. 제어동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63.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

  • 64. 신호흐름선도의 기본 성질로 틀린 것은?

  • 65. 플레밍의 왼손법칙에서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것은?

  • 66. 회전하는 각도를 디지털량으로 출력하는 검출기는?

  • 67. 시간에 대해서 설정값이 변화하지 않는 것은?

  • 68. i = Imsinωt 인 정현파 교류가 있다. 이 전류보다 90° 앞선 전류를 표시하는 식은?

  • 69. 논리식 X + X + Y 를 불대수의 정리를 이용하여 간단히 하면?

  • 70. 다음의 전동력 응용기계에서 GD2의 값이 작은 것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 71. 잔류편차와 사이클링이 없어 널리 사용되는 동작은?

  • 72. AC 서보 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73. 3상 농형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방법이 아닌 것은?

  • 74. 다음 그림과 같은 유접점 논리회로를 간단히 하면?

  • 75. 3상 교류에서 a, b, c상에 대한 전압을 기호법으로 표시하면, 로 표시된다. 여기서 라는 페이저 연산자를 이용하면 Ec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 76. 지시계의 구성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 77. 워드레오나드 속도 제어는?

  • 78. 전달함수 G = 1/s+1인 제어계의 인디셜 응답으로 옳은 것은?

  • 79. 승강기 등 무인장치의 운전은 어떤 제어인가?

  • 80. 100mH의 인덕턴스를 갖는 코일에 10A의 전류를 흘릴 때 축적되는 에너지는 몇 J인가?

5 과목 : 배관일반
  • 81. 다음 중 열팽창에 의한 관의 신축으로 배관의 이동을 구속 또는 제한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 82. 공기조화 설비에서 에어워셔(air washer)의 플러딩 노즐이 하는 역할은?

  • 83. 급탕배관의 구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4. 아래의 저압가스 배관의 직경을 구하는 식에서 S가 의미하는 것은? (단, L은 관의 길이를 의미한다.)

  • 85. 공기조화설비에서 수 배관 시공 시 주요 기기류의 접속배관에는 수리 시 전 계통의 물을 배수하지 않도록 서비스용 밸브를 설치한다. 이때 밸브를 완전히 열었을 때 저항이 적은 밸브가 요구되는데 가장 적당한 밸브는?

  • 86. 가스수요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일정한 가스량을 안정하게 공급하고 저장을 할 수 있는 가스홀더의 종류가 아닌 것은?

  • 87. 배관재료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88. 다음 중 방열기나 팬코일 유니트에 가장 적합한 관 이음은?

  • 89. 냉매의 토출관의 관경을 결정하려고 할 때 일반적인 사항으로 틀린 것은?

  • 90. 유리섬유 단열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1. 증기난방 시 방열 면적 1m2당 증기가 응축되는 양은 약 몇 kg/m2ㆍh인가? (단, 증발잠열은 539kcal/kg이다.)

  • 92. 냉온수 배관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93. 암모니아 냉동장치 배관재료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94. 수격현상(water hammer)방지법이 아닌 것은?

  • 95. 통기관을 접속하여도 장시간 위생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봉수파괴가 될 수 있는 원인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96. 다음 중 증기와 응축수 사이의 밀도차 즉, 부력 차이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식 트랩은?

  • 97. 수직배관에서의 역류방지를 위해 사용하기 가장 적당한 밸브는?

  • 98. 기계배기와 기계급기의 조합에 의한 환기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외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를 필요로 하는 환기법은?

  • 99. 온수난방 배관에서 리버스 리턴(Reverse return) 방식을 채택하는 주된 이유는?

  • 100. 병원, 연구소 등에 발생하는 배수로 하수도에 직접 방류할 수 없는 유독한 물질을 함유한 배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