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Industrial Hygiene Management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2. 자격정보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업위생관리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물리적, 인체공학적 혹은 생물학적 유해요인을 측정, 평가하여 이를 관리하고, 유해요인을 감소 및 제거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안전관리에 관한 산업기사 제도로는 가스산업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소방설비(기계분야)산업기사, 소방설비(전기분야)산업기사,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가 있음.
산업위생관리에 관한 자격 제도로는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위생관리기술사가 있음.
분진측정기,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등의 각종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사업장내 유해위험과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제반 문제점을 개선, 개량,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
또한 구체적으로 쾌적한 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작업장 및 실내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기타 유해요인에 관한 환경 측정, 시료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유해 요인의 노출 정도를 분석⋅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
산업 환기 점검, 보호구 관리, 공정별 유해 인자 파악 및 유해 물질 관리 등을 실시.
또한 작업자에게 산업위생보건에 관한 지도 및 교육을 실시하는 업무도 담당하는데, 보건 교육 훈련, 근로자의 보건 관리 업무를 통하여 환경 시설에 대한 보건 진단 및 개인에 대한 건강 진단 관리, 건장 증진, 개인위생 관리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주로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건설 등의 제조업체로 진출.

- 특히 산업재해 가능성이 높은 화학, 석유, 석탄공업, 목재 및 가공공업, 플라스틱, 금속공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건설업, 비금속, 광물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활동 가능.

- 안전관리 유해, 위험작업 교육기관,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안전관리 진단기관 등으로 취업하기도 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한사업안전협회 등 관련기관으로 진출하기도 함.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보건관리자의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보건관리 분야의 인력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함.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폐기물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관리자 자격이 주어지고, 보건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0,8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보건관리학, 보건위생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의복, 전기·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목재·가구·공예, 농림어업,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산업위생학 개론
2)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3) 작업환경관리
4) 산업환기

- 실기

1) 작업환경관리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산업위생학 개론
  • 1. 국소피로를 평가하는 데는 근전도(electromyogram, EMG)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EMG를 정상 근육에서 측정된 EMG와 비교할 때 차이가 있는데, 이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총전압의 증가
    • 2평균 주파수의 증가
    • 30~200Hz 저주파수에서의 힘의 증가
    • 4500 ~ 1000Hz 고주파수에서의 힘의 감소
  • 2. 재해율의 종류 중 천인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천인율 = (재해자수/평균근로자수)*1000
    • 2근무시간이 다른 타 업종간의 비교가 용이하다.
    • 3각 사업장 간의 재해상황을 비교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 41년 동안에 근로자 1000명에 대하여 발생한 재해자 수는 연천인율이라 한다.
  • 3. 국제노동기구(ILO)는 산업보건사업의 권장조건으로써 3가지 기본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기본목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후진국 근로자의 작업조건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
    • 2노동과 노동조건으로 일어날 수 있는 건강장해로부터 근로자 보호
    • 3근로자의 정신적ㆍ육체적 안녕 상태를 최대한으로 유지 증진시키는데 기여
    • 4작업에 있어서 근로자들의 정신적ㆍ육체적 적응, 특히 채용 시 적정배치에 기여
  •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ㆍ조언을 할 수 있는 자는?

  • 5. 직업병과 관련 직종의 연결이 틀린 것은?

  • 6. 인간 - 기계 시스템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 7.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중량 취급 작업에 권고치 중 감시기준(AL)DL 40kg일 때의 최대허용기준(MPL)은?

  • 8. 유기용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유기용제의 소변 중 대사산물의 짝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

  • 9.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휴식 중일 때, 산소소비량(oxygen uptake)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0. MSDS 제도상에서 제조 수입, 양도, 제공 또는 사용을 금지하는 물질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 11. 전신피로가 나타날 때 발생하는 생리학적 현상이 아닌 것은?

  • 12. 소음의 노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3. 직업성 피부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 14. 개인 차원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5. 단순 질식제가 아닌 것은?

  • 16. 각 국가 및 기관에서 사용하는 노출기준의 용어가 틀린 것은?

  • 17. 작업대사율이 7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식을 활용한다.)

  • 18. 근골격계의 질환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 19. 산업안전보건법상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

  • 20. 육체적 작업능력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를 운반하고 있다. 이 때의 작업대사량이 7kcal/min라고 할 때 이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하여 일할 수 있는 최대 허용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16kcal/min에 대한 작업시간은 4분이다.)

2 과목 :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 21. 가스상 물질의 포집을 위한 기체 혹은 액체치환병을 시료채취 전에 전동펌프 등을 이용한 채취대상공기로 치환 시 채취효율에 대한 오차율이 0.03%일 때 가스시료 채취병의 공기치환 횟수는?

  • 22. 습구혹구온도지수(WBGT)를 사용하여 옥외작업장의 고온 허용기준을 산출하는 공직은? (단, 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

  • 23. 도장 작업장에서 작업시 발생되는 유기용제를 측정하여 정량, 정성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 때 가장 적합한 분석기기는?

  • 24. 방사선 작업시 작업자의 실질적인 방사선 노출량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 25. 근로자가 순간적으로라도 유해물질에 초과되어서는 안되는 농도를 표시해주는 혀용기준의 종류는?

  • 26. 기류측정기기라 할 수 없는 것은?

  • 27. 검지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8. 2차 표준기구에 해당하는 것은?

  • 29. 아세톤 2000ppb은 몇 mg/m3인가? (단, 아세톤 분자량 = 58, 작업장 25℃, 1기압)

  • 30. 입자채취를 위한 사이클론과 충돌기를 비교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1. 유량, 측정시간, 회수율에 의한 오차가 각각 5%, 3%, 5% 일 때 누적오차(%)는?

  • 32.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컬럼의 역할은?

  • 33. 석면의 공기 중 농도를 표현하는 표준 단위로 사용하는 것은?

  • 34.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형의 활성탄관의 경우, 앞층과 뒷층에 들어 있는 활성탄의 양은? (단, 앞층 : 공기 입구 쪽)

  • 35.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로 분석하기에 적합한 물질은?

  • 36. H2SO4(MW=98)4.9g dl 100L의 수용액 속에 용해되었을 때 이용액의 pH는? (단, 황산은 100% 전리한다.)

  • 37. 1촉광의 광연으로부터 한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는?

  • 38. 유사노출그룹(Similar Exposure Group : SEG)을 결정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9. 총 먼지 채취 전 여과지의 질량은 15.51MG이고 20L/분으로 7시간 시료 채취 후 여과지의 질량은 19.95MG이었다. 이 때 공기 중 총 먼지농도(mg/m3)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 40. 어떤 분석방법의 검출한계가 0.15mg 일 때 경량한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3 과목 : 작업환경관리
  • 41. 전리 방사선은 생체에 대하여 파괴적으로 작용하므로 엄격한 허용기준이 제정되어 있다. 전리 방사선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 42. 공학적 작업환경관리 대책 중 격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3. 방독마스크의 유해인자와 카트리지 색깔의 연결이 틀린 것은?

  • 44. 출력이 0.01W인 기계에서 나오는 음향파워레벨(PWL,dB)은?

  • 45. 고압환경에서 발생되는 2차적인 가압현상(화학적 장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6. 이상기압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47. 알뎅히트(지방족)를 다루는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장갑의 재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 48.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오래된 우물에 들어가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가 반드시 착용해야 할 개인보호구는?

  • 49. 8시간 동안 어떤 근로자가 노출된 소음의 압력 수준이 10-2.8Watt이었다면, 노출수준(dB)은? (단, 기준음력 = 10-12Watt)

  • 50. 밀페공간 작업시 작업의 부하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51. 다음의 성분과 용도를 가진 보호 크림은?

    - 성분 : 정제 벤드나이드 겔, 염화비닐수지
    - 용도 : 분진, 전해약품 제조, 원료취급 작업

  • 52. 자연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3.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해야 하는 건강장해 물질이 아닌 것은?

  • 54. 렌트겐(R) 단위(1R)의 정의로 옳은 것은?

  • 55. 청력보호구의 차음효과를 높이기 위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56. 심 50m에서의 압력은 수면보다 얼마가 높겠는가?

  • 57. 동일한 작업장 내에서 서로 비슷한 인체부위에 영향을 주는 유독성 물질을 여러 가지 사용하는 경우에 인체에 미치는 작용으로 옳은 것은?

  • 58.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은 여러 기전에 의해 여과지에 채취된다. 차단, 간섭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9. 연료, 합성고무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저농도로 장기간 폭로 시 혈액장애, 간장장애를 일으키고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을 일으키는 유해화학 물질은?

  • 60. 한랭 환경에서 발생하는 제2도 동상의 증상은?

4 과목 : 산업환기
  • 61. Della Valle가 유도한 공식으로 외부식 후드의 필요환기량을 산출할 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 62. 호드의 압력손실과 비례하는 것은?

  • 63. 전체환기에서 오염물질 사용량(L)DP 대한 필요환기량(m3/L)을 산출하는 공식은? (단, SG : 비중, K : 안전계수, MW : 분자량, TLV : 노출기준이다.)

  • 64. 관성력 집진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5. 작업장 공기를 전체환기로 하고자 할 때 조건으로 틀린 것은?

  • 66. 집경 40cm인 덕트 내부를 유량 120m3/min의 공기가 흐르고 있을 때, 덕트 내의 풍압은 약 몇 mmH2O인가? (단, 덕트 내의 공기는 21℃, 1기압으로 가정한다.)

  • 67. 송품량을 가장 적게하여도 동일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후드는?

  • 68. 덕트 내 유속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69. 분진이 발생되는 공정에서 국소박이 시설의 계통도(배열순서)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 70.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0.03%,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0.3%일 때, 한사람의 시간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1L라면, 1인 1시간당 필요환기량(m3/hrㆍ인)은 약 얼마인가?

  • 71. 국소배기장치 중 덕트의 관리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72. 페인트 공장에 설치된 국소박이 장치의 풍량이 적정한지 타코메타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설계 당시의 사양을 보니 풍량(Q)은 40m3/min, 회전수는 1120 rpm, 이었으나 실제 측정하였더니 회전수가 1000rpm이었다. 이는 실제 풍량은 약 얼마인가?

  • 73. 그림과 같이 노즐(Nozzle) 분사구 개구면의 유속을 100%라 하고 분사구 내경을 D라고 할 때 분서구 개구면의 유속이 10%로 감소되는 지점의 거리는?

  • 74. 자유공간에 떠있는 직경 20cm인 원형개구후드의 개구면으로부터 20cm 떨어진 곳의 입자를 흡인하려고 한다. 제어풍속을 0.8m/s으로 할 때 속도압(mmH2O)은 약 얼마인가? (단, 기체 조건의 21℃, 1기압 상태이다.)

  • 75. 후드의 성능 불량 원인이 아닌 경우는?

  • 76. 0℃, 760mmHg인 작업장에서 메탄올(CH3OH이 260MG/m3)있다면, 이는 몇 ppm인가?

  • 77. 중력집진장치에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78. 고농도 오염물질을 취급할 경우 오염물질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내압은 어떤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적정한가?

  • 79. 정압과 속도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0. 송풍기의 정압 효율이 좋은 것부터 맞게 나열한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