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실내건축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Interior Architectur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실내건축기능사, 실내건축산업기사, 실내건축기사

2. 자격정보

□ 실내건축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실내건축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환경에 대한 이해와 건축적 이해를 바탕으로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계획, 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20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건축공간을 기능적, 미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현장 분석자료 및 기분 개념을 가지고 공간의 기능에 맞게 면적을 배분하여 공간 구성을 계획하고, 구성개념의 표현을 위하여 개념도, 평면도, 천정도, 입면도, 상세도, 투시도 및 재료 마감표를 작성하며, 설계가 완료된 도면을 제작하고 현장의 시공을 관리하는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창업

- 본인이 직접 개업하거나 프리랜서활동이 가능.

취업

- 건축설계사무소, 건설회사, 인테리어사업부, 인테리어전문업체, 백화점, 방송국 및 공연장 세트제작회사, 가구디자인회사, 조명디자인회사, 리모델링회사, 모델하우스 전문시공업체, 디스플레이전문업체, 기업체의 디자인실 등에 취업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건축과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실내건축 분야의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근로자의 보건, 안전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 시 활용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7,9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필답형 : 출제기준을 참조

- 작업형 : 건축실내의 설계 및 시공 실무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실내건축, 실내디자인 건축설계디자인공학, 건축설계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실내디자인계획
2) 실내디자인시공 및 재료
3) 실내디자인환경

- 실기

1) 실내디자인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40점) + 작업형(5시간 정도, 6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90분

- 실기 : 360분

1 과목 : 실내디자인론
  • 1. 실내기본요소 중 바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이다.
    • 2촉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을 요구한다.
    • 3고저차를 통해 공간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 4다른 요소들에 비해 시대와 양식에 의한 변화가 현저하다.
  • 2. 가구배치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평면도에 계획되며 입면계획을 고려하지 않는다.
    • 2실의 사용목적과 행위에 적합한 가구배치를 한다.
    • 3가구 사용시 불편하지 않도록 충분한 여유 공간을 두도록 한다.
    • 4가구의 크기 및 형상은 전체공간의 스케일과 시각적, 심리적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 3. 실내디자이너의 역할과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건축 및 환경과의 상호성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 2인간의 활동을 도와주며, 동시에 미적인 만족을 주는 환경을 창조한다.
    • 3효율적인 공간창출을 위하여 제반요소에 대한 분석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 4실내디자이너의 작업은 이용자 특성에 대한 제약을 벗어나 공간예술 창조의 자유가 보장 되어야 한다.
  • 4. 디자인의 원리 중 대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 알바 알토가 디자인한 의자로 자작나무 합판을 성형하여 만들었으며, 목재가 지닌 재료의 단순성을 최대한 살린 것은?

  • 6. 다음 중 전시공간의 규모 설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7.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 수평 블라인드로 날개의 각도, 승강으로 일광, 조망, 시각의 차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 9. 어떤 공간에 규칙성의 흐름을 주어 경쾌하고 활기 있는 표정을 주고자 한다. 다음의 디자인 원리 중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 10.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조명의 연출기법은?

    물체의 형상만을 강조하는 기법으로 시각적인 눈부심은 없으나 물체면의 세밀한 묘사는 할 수 없다.

  • 11. 사무소 건축의 오피스 랜드스케이핑(Office Landscap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2. 역리도형 착시의 사례로 가장 알맞은 것은?

  • 13. 더블 베드(double bed)의 크기로 알맞은 것은?

  • 14. 상점의 판매형식 중 대면판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가장 완전한 균형의 상태로 공간에 질서를 주기 용이한 디자인 원리는?

  • 16. 다음 중 집중효과가 가장 큰 것은?

  • 17. 주거공간을 주 행동에 의해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사회공간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8. 다음 설명에 알맞은 특수전시기법은?

    - 하나의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 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 것으로 현장에 임한 느낌을 주는 기법이다.
    - 어떤 상황을 배경과 실물 또는 모형으로 재현하여 현장감, 공간감을 표현하고 배경에 맞는 투사적 효과와 상황을 만든다.

  • 19. 부엌 작업대의 배치유형 중 일렬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 형태의 분류 중 인간의 지각, 즉 시각과 촉각으로는 직접 느낄 수 없고 개념적으로만 제시될 수 있는 형태로서 순수 형태라고도 하는 것은?

2 과목 : 색채 및 인간공학
  • 21. 대비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 색광을 이용하는 조명방법은?

  • 22. 음량에 관한 척도 중 어떤 음을 phon 값으로 표시한 음량 수준은 이 음과 같은 크기로 들리는 몇 Hz 순음의 음압 수준(dB)인가?

  • 23. 다음은 부품배치의 원리에 관한 내용이다. 각각의 번호와 해당하는 원리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 가장 자주 사용되는 다이얼을 제어판 중심부에 위치시킨다.
    ㉡ 온도계와 온도제어장치는 한 곳에 모아야 한다.

  • 24. 공장에서 작업자가 팔을 계속적으로 뻗어 기계의 부속품을 조립할 경우, 근육의 고정된 긴장 때문에 피로해지고 기술도 감소되므로 작업자가 자기 팔꿈치를 되도록 몸에 끌어당겨서 일할 수 있도록 기계가 설계되어야 한다. 이 때 상완과 하완 사이의 각도가 몇 도가 되도록 끌어당기는 것이 적합한가?

  • 25. ON-OFF 스위치 혹은 증, 감에 대한 기본적 원리 중적절치 않는 것은?

  • 26. 소음성 난청이 가장 잘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로 맞는 것은?

  • 27. 인간–기계의 통합체계 중 반자동 체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 28. 피로의 측정분류와 측정대상항목이 맞게 연결된 것은?

  • 29. 인간의 오류를 줄이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 30. 다음 손의 그림과 같이 손바닥 방향으로 꺾이는 관절 운동은?

  • 31. 상품의 색채기획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 32. 색의 온도감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는?

  • 33. 다음 중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우리가 백열전구에서 느끼는 색감과 형광등에서 느끼는 색감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색의 ( ) 때문이다.

  • 34.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목적에 알맞게 조화되도록 만드는 것은?

  • 35. 다음 중 나팔꽃, 신비, 우아함을 연상시키는 색은?

  • 36. 비렌의 색채조화 원리에서 가장 단순한 조화이면서 일반적인 깨끗하고 신선해 보이는 조화는?

  • 37. 한국의 전통색의 상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8. 다음 색상 중 무채색이 아닌 것은?

  • 39. 오스트발트의 등색상 삼각형에서 흰색(W)에서 순색(C) 방향과 평행한 색상의 계열은?

  • 40. 먼셀(Munsell) 색상환에서 GY는 어느 색인가?

3 과목 : 건축재료
  • 41. 다음 재료 중 비강도(比强度)가 가장 큰 것은?

  • 42. 합판(plywood)의 특성이 아닌 것은?

  • 43. 트럭믹서에 재료만 공급받아서 현장으로 가는 도중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 44. KS F 2503(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에 따른 흡수율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A가 의미하는 것은?

  • 45. 각 시멘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6. 목재의 함수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7. 다음 중 방청도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8.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반자틀이 계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수로 인하여 인서트(insert)를 설치하지 않았다고 할 때 인서트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철물의 설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9. 원목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것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얇게 벗긴 것으로 원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합판 제조법은?

  • 50. 바람벽이 바탕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충분히 건조되고 질긴 삼, 어저귀, 종려털 또는 마닐라 삼을 사용하는 재료는?

  • 51. 화산석으로 된 진주석을 900~1200℃의 고열로 팽창시켜 만들며, 주로 단열, 보온, 흡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 52. 다음 중 외장용으로 가장 부적합한 석재는?

  • 53. 각 벽돌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54. 프탈산과 글리세린수지를 변성시킨 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로 내후성, 접착성이 우수하며 도료나 접착제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 55. 강의 일반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6. 다음 중 수경성 미장재료가 아닌 것은?

  • 57. 목재의 자연건조 시 유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8. 미장재료에 여물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 59. 시멘트와 그 용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콘크리트 타설 중 발생되는 재료분리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4 과목 : 건축일반
  • 61.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7조(건축허가등의 동의)에 근거하여 건축물의 사용승인 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사용승인에 동의를 갈음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옳은 것은?

  • 62. 철골구조의 접합에서 두 부재의 두께가 다를 때 같은 두께가 되도록 끼워 넣는 부재는?

  • 63. 거실 용도에 따른 조도기준은 바닥에서 몇 cm의 수평면 조도를 말하는가?

  • 64. 기초의 부동침하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65. 소방시설 중 피난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6. 소방시설 등의 자체점검 중 종합정밀점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7. 개별 관람석의 바닥면적이 600m2인 공연장의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 합계는 최소 얼마 이상인가?

  • 68. 다음 중 평보에 가장 적합한 이음은?

  • 69. 건축물의 피난층 외의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할 때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직통계단에 이르는 최대 보행거리 기준은? (단, 주요구조부가 대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구성, 16층 이상의 공동주택은 제외)

  • 70. 벽돌 쌓기법 중 프랑스식 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1. 건축물의 방화구획 설치기준을 옳지 않은 것은?

  • 72.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사용하는 방염대상물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73. 벽돌구조에서 벽면이 고르지 않을 때 사용하고 평줄눈, 빗줄눈에 대해 대조적인 형태로 비슷한 질감을 연출하는 효과를 주는 줄눈의 형태는?

  • 74. 문화 및 집회시설, 운동시설, 관광 휴게시설로서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 75. 다음중 르꼬르뷔제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76. 고대의 한국건축에서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준 요소는?

  • 77.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78.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하는 가?

  • 79. 다음 중 두께에 관계없이 방화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 80. 주택의 거실에 채광을 위하여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거실 바닥면적의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