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화재감식평가기사
영문명 :
Fire Investigaton & Evaluation Engineer
관련부처 :
소방청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감식평가기사

2. 자격정보

□ 화재감식평가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화재감식평가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화재현장에서 화재원인조사, 피해조사, 화재분석 및 평가를 통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원인 및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안전관리에 관한 기사 제도로는 가스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소방설비(기계분야)기사, 소방설비(전기분야)기사, 인간공학기사, 화재감식평가기사 제도가 있음.
화재감식평가에 관한 자격 제도로는 화재감식평가기사와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가 있음.
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하여 주로 시각에 의한 종합적인 판단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화재보험협회, 대기업 화재조사팀,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화재 감식 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 가능.

- 산업구조의 대형화 및 다양화로 건축·시설물이 고층·심층화되고, 고압가스나 위험물을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등으로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아지면서 화재감식과 관련한 인력수요가 늘어나는 추세.

- 화재 원인 분석과 그로 인한 재산피해액 보상을 위한 분쟁도 증가하여 화재감식 전문가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시험과목

- 필기

1) 화재조사론
2) 화재감식론
3) 증거물 관리 및 법과학
4) 화재조사 보고 및 피해평가
5) 화재조사 관계법규

- 실기

1) 화재감식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화재조사론
  • 1. 다음 중 분진폭발의 위험이 가장 낮은 것은?

    • 1알루미늄
    • 2적린
    • 3
    • 4생석회
  • 2. 불기둥에 의해 수직벽면에 생성되는 패턴으로 옳지 않는 것은?

    • 1V 패턴
    • 2모래시계 패턴
    • 3도넛형태 패턴
    • 4U 패턴
  • 3. 화재가 나타나는 V 패턴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불꽃과 대류 또는 복사열에 의해서 생성된다.
    • 2연소가 진행될 때 수직으로 된 벽면에 나타난다.
    • 3패턴이 나타내는 각도가 넓으면 연소속도가 느리다.
    • 4발화지점이 아닌 곳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
  • 4. 아마인유, 대두유, 오동유 등의 건성유를 90∼100℃에서 5∼10시간 공기를 불어 넣으면서 가열하여 색과 점도를 준 것으로 요오드가가 145 이상인 보일유에 안료와 전색제 등을 혼합한 착색도료는?

  • 5. 다음 중 박리 흔(spalling)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 화재조사 측면에서의 화재진압 및 구조대원이 역할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7. 화재현장 복원 요령으로 가장 옳은 것은?

  • 8. 점화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 메틸에틸케톤(MEK) 화재의 분류로 적합한 것은?

  • 10. 화염의 색이 백적색일 때 불꽃의 온도는?

  • 11. 목재의 탄화심도를 측정시 유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2. 다음 중 산소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 13. 다음 중 발화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 14. 화재원인조사에 해당하는 조사의 종류와 범위로 옳은?

  • 15. 다음 화재현장의 특징 중 건축물 방화현장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6. 유류화재와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7. 화재조사의 책임과 권한으로 옳은 것은?

  • 18. 프로판 50vol%, 메탄 30vol%, 수소 20vol%의 조성으로 혼합된 가연성연료가 공기 중에 존재한다고 할 때 이 연료가스의 연소하한계(LFL)는 얼마인가? (단, 프로판의 LFL은 2.1vol%, 메탄의 LFL은 5vol%, 수소의 LFL은 4vol%이다.)

  • 19. 액체가연물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주변으로 튀거나 액체를 뿌릴 때 바닥면에 액체 방울이 튄 것처럼 연소하는 패턴은?

  • 20. 소방법령에 근거한 화재조사의 범위에 포함 되지 않는 것은?

2 과목 : 화재감식론
  • 21. 나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탄화와 균열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 22. 항공기 화재에서 가연성 금속화재의 분류(class)로 옳은 것은?

  • 23. 산화성 고체가 아닌 것은?

  • 24. 발화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5. 자동차 엔진이 회전할 때 기관 내부 주요부위 온도를 나타낸 것 중 옳은 것은?

  • 26. 연소가 확대된 연소경로의 방향성을 알기 위한 주요 판단요소가 아닌 것은 ?

  • 27.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안전밸브의 종류가 옳게 연결된 것은?

  • 28. 누전에 의한 화재를 입증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9. pH = 3인 수용액의 [H+]는 pH=5인 수용액의 [H+]의 몇 배인가?

  • 30. 선박화재의 직접적인 발화(發火)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31. 방화 범죄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32. 방화의 일반적인 판단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3. 인화성 기체(고압가스)이 폭발사고 조사 시 용기의 색은 기체 종류 파악에 중요하다. 기체의 종류에 따른 용기의 색이 옳게 연결된 것은?

  • 34.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 35. 자동차 점화장치의 전류 흐름 순서는?

  • 36.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를 비교한 것으로 틀린 것은?

  • 37. 담뱃불 발화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8. 산불진화 시 열 스트레스 손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9. 다음 중 우리나라 임야화재의 발생건수가 가장 많은 계절은?

  • 40. 폭발 현장에서 수집한 배경 정보를 바탕으로 폭발 전 및 폭발시 사고 경위를 표로 만든 후 인과관계이론과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추론한 후 “최적”이론을 설정하는 분석을 무엇이라 하는가?

3 과목 : 증거물관리 및 법과학
  • 41. 사진이나 비디오 등 영상물의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로 옳은 것은?

  • 42. 다음은 어떤 증거에 대한 설명인가?

    자신이 직접 인지한 사실이나 다른 사람이 말한 것에 대한 증거로서 다른 사람의 신뢰성에 의존하는 증거이다.

  • 43. 액체증거물 수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4. 화재현장에서 채취한 증거물의 감정기관 이송 시 우편법상의 금지 물품이 아닌 것은?

  • 45. 다음 중 화재조사자가 작성해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 46. 화재현장에서 역광 촬영을 하고자 한다. 다음 중 카메라 측광방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 47. 화재현장에서 진압대원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용융점이 높은 것에서 낮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 49. 화재현장을 촬영하는 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0. 화재현장에서 화재조사자들이 증거물 관련 부분을 직접 인지해야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

  • 51. 사후강직이란 사망 후 몸이 경직되는 것이다. 경직이 남아 있는 최대 시간은?

  • 52. 화재현장 사진 및 비디오 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53. 화재현장 촬영 시 주요 촬영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4. 타임라인과 마인드 매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5. 화재현장에서 관계인의 진술 및 증거확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6. 훈소 발화가 가능한 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 57. 화재현장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8. 화재현장 및 물리적 증거물의 보존에 대한 책임이 있는 자가 아닌 것은?

  • 59. 타임라인에서 상대적 시간에 포함되는 것은?

  • 60. 어떤 물체 내부의 실체를 전혀 알 수 없거나 감정물건의 내부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기기는?

4 과목 : 화재조사보고 및 피해평가
  • 61.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건축·구조물 화재 중 반소의 소실범위는?

  • 62. 화재현장조사서 도면 작성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 63. 화재증명원 발급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 64.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에서의 화재피해액 산정대상인 것은?

  • 65. 화재조사서류 작성상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6. 가재도구 개별품목별로 화재피해액을 산정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 67. 화재조사서류(사진 포한)를 문서로 기록하고 전자기록 등의 보존방법에 따라 보존해야할 기간은?

  • 68.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서 긴급상황보고를 해야 하는 대형화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9.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후 몇 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한 사망자로 구분하는가?

  • 70. 화재현황조사서에 기입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 71.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지붕 4층 건물의 2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층 점포는 천장 1면만 50m2가 수손되고, 2층은 100m2가 전소되었으며, 3층은 바닥, 벽, 처장 등 3면에 70m2가 연기에 그을렸다. 화재피해액 산정 시 소실면적은?

  • 72. 긴급상황보고 대상 중 특수화재에 속하지 않은 것은?

  • 73. 화재발생종합보고서 작성요령으로 틀린 것은?

  • 74. 화재현장조사서 작성 시 화재원인 검토와 관련된 내용 중 필수 검토항목이 아닌 것은?

  • 75. 소실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6.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건축물에 대한 화재피해액 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 77. 화재피해액 산정에 있어서 영업시설의 소손 정도에 따른 손해율 60%에 해당하는 것은?

  • 78. 화재피해 산정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 79. 화재 피해물의 경제적 내용연수가 다한 경우 잔존하는 가치의 재구입비에 대한 비율은?

  • 80. 예술품 및 귀중품의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5 과목 : 화재조사관계법규
  • 81.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건축·구조물화재 소실정도이 구분이 아닌 것은?

  • 82.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서 정의한 사상자로 옳은 것은?

  • 83. 화재조사서류 작성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84. 「제조물책임법」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권 소멸시효는 몇 년인가?

  • 85.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에서 후유장애 1급 보험금액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 전 문제로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86.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에서 상해급별 1급 보험금액으로 옳은 것은?

  • 87. 특수건물 소유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보험금액 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8. 소방법령에 따른 화재조사권자가 아닌 자는?

  • 89. 제조물책임법의 제정목적이 아닌 것은?

  • 90. 승객이 있는 기차에 불을 놓은 경우에 해당되는 죄는 무엇인가?

  • 91. 화재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2. 신체손해배상특약부 화재보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3. 공용건조물 등에의 방화죄 대상물이 아닌 것은?

  • 94. 사법경찰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95. 화재조사자가 화재원인 및 피해조사활동을 개시하는 시점으로 옳은 것은?

  • 96.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해 조사를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97. 소방법령상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행위가 아닌 것은?

  • 98.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손해배상액의 경감사유와 거리가 먼 것은?

  • 99.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0. 화재에 있어서 진화용의 시설 또는 물건을 은닉 또는 손괴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진화를 방해한 자에 대한 형법상 벌칙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