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졸업논문] 조선후기 제망실문에의 소품체 도입 연구

*송*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3.28
최종 저작일
2012.12
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졸업논문] 조선후기 제망실문에의 소품체 도입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설

2. 소품체와 조선후기 제망실문 연구동향
1) 소품체의 유행
2) 조선후기 제망실문의 변화

3. 「望奠祭亡室文」을 통해 본 제망실문에의 소품체 도입
1) 제망실문의 매너리즘 경향
2) 심노숭의 「望奠祭亡室文」과 소품체의 도입
3) 기타 제망실문과의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설
18-19세기 유행한 소품문은 길이가 짧은 문장으로, 주류 스타일인 古文에 반발해 탈이데올로기적이면서 개인의 고답적 예술성과 서정성을 추구한 글이다. 소품문은 原체, 記체 등 여러 가지 산문 형식으로 쓰였으며, 당시의 제망실문에도 영향을 끼쳐서 조선 전기에는 의례적, 공적인 기능이 강하던 제망실문에 18세기 이후 서정적, 개인적 경향이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심노숭의 「望奠祭亡室文」을 들 수 있다.
심노숭(1762~1837)은 김려, 이옥 등과 함께 18세기 대표적인 소품체 작가 중 한 명으로, ‘1700여수의 시와 600여편의 산문 그리고 대단히 많은 분량의 잡록류를 남겼고 『大東稗林』이라는 거질의 야사집을 편찬’했다. 특히 그의 도망문은 다양한 문체로 감정을 표출하고 있어 그 문학적 가치가 높다. 심노숭은 1792년 셋째딸과 아내를 연달아 잃고 상 직후 지은 의례적인 글들로『枕上集』을 묶고, 이후 1794년까지 2년간 일체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는 작품들만 지어 『眉眼記』로 묶어 총 25제의 시와 24편의 도망문을 남겼는데, 이는 우리 문학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본고에서 다룰 「望奠祭亡室文」은 『枕上集』에 수록된 작품이다.
아래에서는 소품체의 유행이 제망실문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심노숭의 「望奠祭亡室文」을 비슷한 시기 다른 작가의 제망실문과 비교하여 소품체의 유행이 제망실문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2. 소품체와 조선후기 제망실문 연구 정리
1) 소품체의 유행
소품문이란 18-19세기 유행한 짧은 문장으로, 개인주의적 성향과 소시민주의가 표현된 글이다. 주로 서정성과 예술성을 추구하며, 짧다고 해서 소품문이라고 볼 수는 없고 작가의 독특한 정신적 특징이 담겨 있어야 한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이용휴, 김덕무, 박제가, 이옥, 김려, 심노숭 등이 있으며, 정조 때 문체반정의 원인이 되었다.

참고 자료

심노숭, 김영진 편역, 『눈물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2001.
이학규, 정우봉 편역, 『아침은 언제 오는가』, 태학사, 2006.
김남이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7』, 보고사, 2010.
김영진, 「孝田 沈魯崇 文學 硏究: 散文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김영진, 「朝鮮後期의 明淸小品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김성진, 「朝鮮後期 小品體 散文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1991.
김혈조, 「燕巖體의 成立과 正祖의 文體反正」, 成均館大學校, 석사논문, 1981.
김소연, 「朝鮮祖 後期 實境繪畫의 美學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8.
박동주, 「철학적 담론을 생산하는 글쓰기, ‘原’體 散文 一考: 丁範祖와 丁若鏞, 李德懋와 沈魯崇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vol. 26, 2004.
단행본『조선후기 小品文의 실체』(안대회 엮음,, 태학사, 2003) 수록 논문
안대회,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강명관, 「문체와 국가장치 - 正祖의 文體反正을 둘러싼 사건들」
김성진, 「패사 • 소품의 성격과 실제」
이성혜, 「소품문의 문체적 특징」
김성진, 「조선후기 文人들의 生活相과 小品體 散文: 南公轍의 예를 중심으로」
정수미, 「朝鮮時代 祭亡室文 硏究」, 慶星大學校 大學院 석사논문, 1999.
우승희, 「조선후기 祭亡失文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2007
황수연, 「17세기 ‘祭亡室文'과 '祭亡女文' 연구」, 『韓國漢文學硏究』 vol. 30, 2002.
황수연, 「조선후기 제문 연구 - 여성 대상 제문을 중심으로」, 『大東漢文學』 Vol.25, 2006.
박무영, 「18세기 祭亡室文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韓國漢文學硏究』vol. 32, 2003.
고연희, 「17세기 男性의 女性再現 - 김창협의 여성 애제문을 중심으로」, 『韓國의 哲學』vol. 32, 2003.
김명순, 「17세기 여성대상 산문의 남성의 여성인식과 여성의 삶」, 『語文硏究』 vol.56, 2008.
김미영, 「죽은 아내를 위한 선비의 제문 연구 - 아내를 향한 사랑의 다면성」,『실천민속학연구』 vol.8, 2006.
강혜선, 「조선후기 여성 대상 제문과 묘지명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국문학 연구』vol.13, 2005.
*송*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졸업논문] 조선후기 제망실문에의 소품체 도입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