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김구 자서전 백범일지 (초판본, 김구 친필 서명본, 전갑주 복제본)

검색어 입력폼
저자
김구
독후감
3
책소개 전갑주가 33년에 걸쳐 수집하고 소장한 문화재급 수준의 1947년 국사원 발행 김구 자서전 [백범일지] 초판본은 동 시대를 산 권태형동지(權太亨同志)에게 증정한 친필 서명본이며, 1955년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시] 초판본은 태문장서인(泰文藏書印)이 찍힌 어느 소장인의 초판 원본이다. 이...
  • 백범김구를 읽고 1장으로 정리된 독후감입니다.
    백범김구를 읽고 1장으로 정리된 독후감입니다.
    요즘처럼 극단적이고 서로서로 물어뜯고 편을 가르는 시대는 없었다. 무언가 광기가 느껴질 정도로 현재 우리 사회는 서로를 배척하고 내 편을 찾아 나선다. 자연스럽게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근본적인 원인은 어느 순간부터 다들 나만 아니면 된다는 생각들을 하면서 서로가 서로에 대해 배려가 없어진 것이 크다. 그리고 리더를 하는 사람들도 어느 집단이나 민족 혹은 정당을 위한 것이 아닌 스스로의 보신을 더 많이 하는 느낌이다. 얼마 전 우연히 깊은 책장 속에서 마주한 『백범일지』는 어설프게 애매한 중립을 향하고 있던 나를 꾸짖었다.
    독후감/창작| 2022.05.03| 1 페이지| 1,000원| 조회(41)
  • 백범일지 독후감
    백범일지 독후감
    1876년 음력 7월 11일 안동김씨 김자점의 후손으로, 아버지 김순영과 어머니 곽낙원의 아들로 태어남/1887년 양반이 되기 위해 공부하기로 결심. 청수리 이생원을 선생으로 모심/1888년 할아버지 별세, 아버지 뇌졸중으로 친척 댁을 전전함/1892년 임진년 경과에 낙방/1893년 동학 입도, 김창수로 개명/1894년 최시형에게 접주 첩지를 받음, 우금치 전투패배/1896년 일본인 쓰치다를 살해하여 해주옥에 투옥, 인천감옥으로 이송. 옥중 장티푸스에 걸려 자살기도하나, 주위사람들에 의하여 살아남. 또한 감옥에서 서양 근대 문물 접함/1898년 백범 탈옥. 삼남으로 도피하여 마곡사의 중이 됨/1899년 환속하여 본향으로 돌아옴/1900년 김두래로 변명, 아버지 돌아가심/1909년 강연회 등 계몽운동 전개. 1912년 이름 “구”를 “구”로, “연하”를 “백범”으로 고침/1922년 임시정부 내무총장이 됨, 한국노병희를 조직하고 초대이사장이 됨/1927년 국무위원에 선출됨/1928년 백범이지 집필시작, 임시정부 활동 침체 극복위해 미주 교포들에게 편지보내기 정책을 실시함. 1931년 해외 교포에게 편지로 금전적 도움을 얻어 이봉창 의거 계획 세움, 한인애국단 창단/1945년 모스크바 3상 회의에 반대하여 신탁통치반대총동원위원회를 조직/1946년 비상국민회의를 소집하여 의장에 선출되고, 남조선 국민대표민주의원 총리에 선임됨. 1947년 반탁독립투쟁위원회를 조직하고 제2차 반탁운동 전개, 비상국민회의를 확대, 강화하여 국민의회 조직, 인재양서위해 건국실천원양성소 개설, 한독당원들에게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에 불참할 것을 성명, 12월 백범일지 출간/1948년 UN 한국위원단에 통일정부 수립을 요구하는 6개항의 의견서를 보냄. 김규식, 김창숙, 조소앙, 조성환, 조완구, 홍명희와 7인 공동서명을 발표하여 남한총선거 불참 표명/1949년 서울에서 조국의 통일을 위한 남북협상을 희망한다고 발언. 6월 26일 낮12시 36분, 경고장에서 육군소의 안두희의 총에 맞아 운명. 그 인물의 남다른 점 또는 훌륭한 점
    독후감/창작| 2019.03.10| 5 페이지| 1,000원| 조회(277)
  • 김구 자서전 독후감
    김구 자서전 독후감
    철종 11년, 세상은 많이 어지러웠다. 일본, 미국을 포함한 많은 강대국들이 우리나라를 잡아먹기 위해 들어 왔고, 그들의 사상과 풍속이 우리나라에 많은 물의를 일으키게 되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시대적 불안감을 지니게 되었고, 그 중 ‘최제우’는 서학에 대항하는 민족 고요의 신앙으로 ‘동학’을 창설하게 된다. ‘김구 자서전’이라고 제목을 써놓고 뜨끔 없이 ‘최제우의 동학 창설’로 글을 시작한 이유는 ‘최제우의 동학’이 나와 김구선생님의 연결점이 되기 때문이다. 같은 성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나는 ‘경주 최’씨 집안의 사람 사람이며, 김구 선생님은 한때 반외세 성격의 동학에 심취하여 활동하였고, 이러한 연결점이 많은 자서전 중 ‘김구 자서전’을 선택하게 한 이유가 되었다.
    독후감/창작| 2017.07.20| 1 페이지| 1,500원| 조회(108)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