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250년 만에 쓰는 사도세자의 묘지명)

검색어 입력폼
저자
이덕일
독후감
4
책소개 ‘한중록’의 이면에 감춰진 사도세자의 죽음의 진실은?스물여덟, 비운의 세자가 남긴 미완의 꿈과 비극의 진실『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이 책은 <한중록>과 <조선왕조실록> 등의 사도세자와 관련된 현존하는 사료들을 취합하여 각 기록의 행간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분석한 책이다. 사도세자의...
  •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독후감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독후감
    저에게 있어 ‘사도세자’는 정신병이 있던 영조의 아들이었으며 뒤주에 갇혀 죽은 세자, 정조의 아버지, ‘한중록’의 혜경궁 홍씨의 남편이었습니다. 이렇듯 국사 선생님과 교과서에 치중된 현재의 역사공부를 해온 저는 사도세자를 이렇게만 기억 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의 어머니였던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사도세자를 정신병 걸린 미치광이 세자로 기억하고 있을 것입니다. (저는 ‘한중록’을 통해 혜경궁 홍씨의 안타까운 이야기를 접하고 슬퍼하며 안타까워 했고, 중학교 국사 수행평가에서 한중록에 대해 조사하여 A+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책의 주된 논점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정신병이 아닌 성군으로 기억되고 있는 영조와 노론을 대표하는 신하들의 음모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했다는 것입니다.
    독후감/창작| 2017.06.03| 2 페이지| 1,000원| 조회(280)
  • 사도세자가 꿈꾼나라를 읽고
    사도세자가 꿈꾼나라를 읽고
    우리가 흔히 아는 사도세자의 이미지는 어떠한 이미지일까? 아마도 미치광이,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무능력한 세자 정도로 생각 할 것이다. 사실 이러한 이미지는 반정도는 맞다고 할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사도세자의 정신질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이 나온다. 하지만 왕의 사후 실록을 작성하는 조선왕조실록의 특성상 이 기록들을 있는 그대로 믿기는 힘들다고 생각한다. 사도세자가 생전에 그의 아버지인 영조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면, 그에 대한 기록을 모두 믿을만 하지만 사도세자는 영조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기록을 남긴 이들은 사도세자와는 다른 정치적 이념을 가진 붕당이었기 때문에 기록에 약간의 과장과 사심 혹은 정치적 이념이 들어갔을 것으로 생각한다. 흔히 “정치는 비정하다”고 말한다. “권력은 부자 사이에도 나눌 수 없다”는 짧은 문장은 그런 비정함을 압축하고 있다. 대체로 구체적 사실의 집적에서 추상적 개념이 도출되듯이, 이 표현도 유사 이래 권력을 둘러싼 인간의 수많은 암투를 겪으면서 만들어졌을 것이다.
    독후감/창작| 2016.10.14| 2 페이지| 1,500원| 조회(162)
  •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줄거리 『한중록』이 전하는 정신병을 앓는 세자. 마구간을 뛰쳐나가 콩밭을 상하게 한 군마의 주인을 처벌하고 밭주인에게 후히 보상하도록 명령한 인물. 아버지와는 다른 정치적 노선을 걸었던 비운의 왕자. '피눈물의 기록'이라고도 불리는 『한중록』은, 남편인 사도세자의 비참한 죽음을 지켜본 혜경궁 홍씨의 기록인 까닭에 후대 사람들이 그 기록을 한이 서린 여인의 진솔한 이야기로 받아들인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 사도세자는 영조의 이상성격으로 인해 정신병이 심화된 인물로 그려졌고, 더불어 사도세자의 죽음은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이 만들어낸 비극임을 강변한다. 하지만 실록의 기록은 달랐다. 『영조실록』에서는 사도세자가 정신병과는 거리가 먼, 성군의 자질을 지닌 인물임을 증명할 수 있는 기록들을 발견할 수 있다.
    독후감/창작| 2016.07.24| 1 페이지| 1,000원| 조회(183)
  •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지금 세상에서 사도와 영조의 이야기가 예전에 비해 다뤄지고 있다. 이는 시대정신하고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책은 ‘사적인 정’과 ‘공적인 정의’사이에서 선택하고,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존재들은 아버지들의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 ‘한중록’은 사도 세자가 세상을 떠난 직후에 쓴 것이 아니다. 모두 네 편으로, 1편은 정조 말년에 쓴 것이고 나머지 세 편은 손자 순조 때 쓴 것이다. 그래서 1편에서는 사도세자의 비난이 거의 없는 대신 순조 때 쓴 2~4편에는 사도세자에 대한 비난이 잔뜩 들어간다. 정조는 사도세자 사건의 목격자지만 순조는 그때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후감/창작| 2016.04.18| 1 페이지| 1,000원| 조회(189)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