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조경기사
영문명 :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조경기능사, 조경산업기사, 조경기사

2. 자격정보

□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조경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생활공간을 아름답게 꾸미고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수행할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8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조경대상지역에 대하여 도시계획과 토지이용 등을 고려하여 조경설계도면을 작성하고, 조경공사 시공에 관한 공사비 적산과 공사공정 계획을 수립.
각종 조경시설의 관리계획수립 및 공사업무의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회사의 조경부서, 조경엔지니어링회사, 조경컨설팅회사, 조경설계용역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음.

- 조경 식자재전문공사업체, 조경시설물 설치전문공사업체, 조경관리업체, 공원(실내, 실외), 학교, 아파트 단지 등의 관리부서, 정원수 및 온실 재배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으로도 취업이 가능.

우대

- 조경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임업직렬의 산림조경, 산림자원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수질, 폐기물 직류,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분야, 시설조경,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조경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7,1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조경학, 원예조경학, 환경조경학, 녹지조경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조경사
2) 조경계획
3) 조경설계
4) 조경식재
5) 조경시공구조학
6) 조경관리론

- 실기

1)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5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80분

- 실기 : 300분

1 과목 : 조경사
  • 1. 그린스워드 계획(Greensward plan)의 특색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1정형적인 몰(mall)과 대로
    • 2입체적인 체계를 갖는 동선
    • 3외부 식재의 제거를 통한 차경
    • 4넓고 쾌적한 마차 드라이브 코스
  • 2. 다음 정원 중 별서가 아닌 것은?

    • 1강릉의 방해정
    • 2담양의 식영정
    • 3구례의 운조루
    • 4화순의 임대정
  • 3. 노자공(路子工)에 의해 궁궐 남정(南庭)에 수미산(須彌山)과 오교(吳橋)가 조성된 시기는?

    • 1평성경시대(平聲京時代)
    • 2평안경시대(平安京時代) 전기
    • 3평안경시대(平安京時代) 후기
    • 4비조시대(飛鳥時代)
  • 4. 옴스테드와 관령이 없는 사항은?

  • 5. 삼국사기에 나타난 정원수 중 궁중에 쓰였던 수종은?

  • 6. 조선시대 후원양식이라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양식이 나타났는데 그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은?

  • 7. 버컨헤드(Birkenhead) 파크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 8. 백제 정림사지(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9. 다음 중 중세의 정원양식과 관련이 없는 것은?

  • 10. 창덕궁 후원은 현존하는 궁궐 후원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다음 중 공간별로 시대적 조성연대 순서가 맞는 것은?(단, 순서는 오래된 것부터 나열한다.)

  • 11. 다음 중 고려 예종 때 궁 남서쪽 2곳에 설치한 것은?

    고려사 예종 8년에 "내시들이 다투어가며 사치하기 위해 왕에게 아첨하여 누대를 짓고 담장을 쌓았으며 민가의 화초를 거두어서 화원에 옮겨 심었으나 부족하여 송나라 상인들에게 사들였다."

  • 12. 정원양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13. 다음 중 자생식물로 야생정원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근대 식재설계에 기여한 사람은?

  • 14. 보길도 윤선도 원림 낙서재에 위치한 지형지물로 고산의 시에 언급된 사령의 하나인 것은?

  • 15. 다음 고대의 조경유형((造景類型)에서 그 의의를 현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16. 토피어리(topiary) 에 관한 설명으로 옮지 않은 것은?

  • 17. 고려시대 격구(擊毬)를 즐겨, 북원(北園)에 격구장(擊毬場)을 설치한 왕은?

  • 18. 네덜란드의 정원은 무엇으로 구획 지어진 작은 섬의 형태를 이루고 서로 다리에 의해서 이어지는가?

  • 19. 조선시대 선비들이 정원 동쪽 울타리 밑에 국화를 심은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 20.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에 설치된 4개의 중정 가운데에서 비쟌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파라다이스 가든과 유사한 수로체계를 가지고 있는 중정은?

2 과목 : 조경계획
  • 21.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에 기초한 「경관미」 평가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22. 다음 중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에서의 허용되는 용적률(A)과 건폐율(B)을 차례로 나열한 것은?(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 23. 다음 중 공원의 최대일(最大日) 이용객 산정 내용으로 옳은 것은?

  • 24. 사람들이 관광의 행위를 일으키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관광을 발생시키는 외적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5. 이용객 추정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 26. 관광지 및 관광단지의 개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7. 다음 중 자연공원의 유형이 아닌 것은?

  • 28. Friedman이 제시한 옥외공간의 설계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 29. 다음 중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개념으로 잘못된 것은?

  • 30. 다음 중 주택정원의 주정(general living)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 31. 자연공원법령상 공원관리청이 공원구역에서 행위 허가를 함에 있어 공원심의위원회의 심의 거쳐야 하는 경우(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2. 경계를 표시하는 상징적 요소인 담장이나 문주의 설치로 주민들에게 높은 소유의식을 부여하는 방법은 환경심리학의 어떤 연구 결과가 응용된 예인가?

  • 33. 주택정원의 기능 분할(zoning)은 크게 전정(前庭), 주정(主庭), 후정(後庭) 및 작업(作業)공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다음 중 후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 34. 경관생태적 조경계획에 있어서 생물 다양성은 경관의 여러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경관의 특성 중 종 다양성과 부(-)의 상관을 가지는 특성은 무엇인가?

  • 35. 인간행태에 관한 개념 중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 36. 조경 기본구상안의 발전단계에서 사용되는 부지상의 기능 다이어그램(Site-Related Functional Diagram)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37. 자연공원의 적정 수용력을 결정하는 방법 중 이용자가 만족스러운 경험을 갖기 위해서 일정 지역에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인가를 기준으로 삼는 수용력은?

  • 38. 관광 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부부의사결정(spousal decision-mak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상 공원시설의 설치면적 기준 중 체육공원에 설치되는 운동시설은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몇 퍼센트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40.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시·도지사는 직접 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을 받아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을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다.

3 과목 : 조경설계
  • 41. 조경설계기준에 의한 『조경포장』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2.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경우 평면도로 옳은 것은?

  • 43.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갔을 때, 처음에는 제대로 보이지 않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이기 시작하는 현상은?

  • 44. 제도용 필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5. 정원 구성재료 중 점(点)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 46. 경관의 시각적 평가방법 중 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 47. 레크레이션 계획 시 수용력을 산정하려고 할 때 틀린 것은?

  • 48. 규모와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9. 시각적인 지각은 이전에 본 것과 이후에 본 것이 상호 연관되어 지각된다. 이 원칙은?

  • 50. 다음 환경자극과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1. 시각적 선호도 측정방법 중 정신생리 측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2. 도로설계에서 곡선부의 선형은 보통 원곡선을 사용한다. 다음 중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 53. 기본계획안 작성 중 집행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54. 색관의 3원색(A)과 색료의 3원색(B)을 각각 모두 혼합하면 나오는 색의 연결이 옳은 것은?

  • 55. 입ㆍ단면도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6. 다음 중 [보기]가 설명하는 조경설계기준상의 배수 방법은?

    - 지표수의 배수가 주목적이다.
    - U형 측구, 떼수로 등을 설치한다.
    - 식재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식재계획 및 맹암거 배수계통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 토사의 침전을 줄이기 위해서 배수기울기를 1/300 이상으로 한다.

  • 57. 포장이 갖는 기능적이며 구성적인 기능과 용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58. 그늘시렁(파고라)을 배치하고자 할 때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 59. 조경설계기준상의 운동시설 중 족구장 관련 내용으로 틀린 것은?

  • 60. 다음 중 파선(숨은 선)의 사용방법으로 옳은 것은?

4 과목 : 조경식재
  • 61. 잔디류 중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은?

    중부이남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앞은 가느다란 침상으로 길이 4~7cm, 잎의 폭 1~1.5mm, 줄기 7cm 정도이며 키가 아주 작고 고운 다년생으로서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잎집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이 잔디는 내한성이 약하여 경기도 지역에서는 월동할 수 없다.

  • 62. 튜울립나무의 과명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63. 표층토(表層土)에 많이 함유된 부식층(腐植層)이 하는 작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 64. 나무의 모양과 크기, 식재간격이 같지 않고, 또한 일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손에 잡히는대로 심어가는 식재수법은?

  • 65. 조경설계기준에서 인공지반에 식재된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식재 최소 토심 기준은?(단, 자연토양을 사용하고, 배수경사는 1.5~2.0%이다.)

  • 66. 다음 중 상록활엽수로 분류되는 것은?

  • 67.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육상식물군집의 생산성 측정법은?

    - 일정 면적 내의 식물을 전부 채취하여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 초본식물의 생산성 측정을 위한 가장 보편적이고 간단한 방법

  • 68. 다음 중 식재비탈면에 교목을 식재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기울기 조건은?

  • 69.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초본류는?

    - 미나리아재비과이다.
    - 잎 및 줄기의 높이는 50~100cm 정도 자라며, 잎은 2회 3출엽으로 2~3개씩 얕게 갈라진다.
    - 개화기는 6~7월로 줄기와 가지끝에서 붉은 자갈색의 꽃이 아래로 향하여 핀다.
    -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어 있다.
    - 연못이나 개울가와 같이 습기가 있는 정원에 심어 관상하다.

  • 70. 다음 중 중부이북지방에서 식재하면 동해 등의 생육상 장해를 받기 쉬워 가급적 식재를 하지 아니하여야 할 수종은?

  • 71. 다음 중 수목식재시 이용되는 지주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2. 4월에 잎이 피기 전에 적자색의 꽃이 개화하여 화색(化色)배합에 중요하게 취급되는 수종은?

  • 73. Odum의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에서 성숙단계에 도달할수록 기대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4. 자동차 배기가스에 가장 약한 침엽수는?

  • 75. 다음 중 은행나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 76. 다음 중 다층식생구조로 가장 안정적인 구성은?(단, 교목 - 관목 - 지피의 순서 위치를 따른다.)

  • 77. 바닷가 마을에 식재하는 수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8. 산딸나무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79. 다음 ( ) 안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   )은(는) 나타니엘 워드(Dr. Nathaniel Waed)가 유리용기 안에서 양치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소개하면서 시작되었다.

  • 80. 조경수목의 성상과 해당 수목의 연결이 틀린 것은?

5 과목 : 조경시공구조학
  • 81. 잔디밭에 살수기를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의 4m 간격으로 배치하였다면 는 어느 정도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가?(단, 결과값은 소수점 3째자리에서 올림한다.)

  • 82. 그림의 면적을 심프슨 제2법칙을 이용하여 구한 값은?(단, 지거의 간격은 5m로 일정하다.)

  • 83. 평판측향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4. 지표면의 유출량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배수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85. 공원이나 골프장의 우수유출계수(雨水流出係數)는?

  • 86.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7. 표준품셈을 적용하여 기계화 시공으로 식재공사를 할 경우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때는 인력품의 몇 %를 감하는가?

  • 88. 시공계획의 작성순서를 조합한 것 중 가장 적당한 것은?

    ㉠ 노무, 기계, 재료 등의 조달·사용계획을 수립한다.
    ㉡ 인원배치, 기계선정, 1일 작업량의 결정 및 각 공사의 작업순서들의 상세한 계획을 수립한다.
    ㉢ 시공방법의 기본 방침을 결정한다.
    ㉣ 계약조건과 현장조건을 조사한다.

  • 89. 다음 중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산정해야 하는 것은?

  • 90. 한중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1. 배수계통 중 지형이 한 방향으로 집중되어 경사를 이루거나 하수처리 관계상 하수를 한 방향으로 유도시킬 때 이용되는 것은?

  • 92. 그림과 같은 외팔보의 고정점 A에서 0.5m 떨어진 단면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m인가?

  • 93. 다음 그림의 옹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B의 각은 안식각 또는 휴식각이라 한다.)

  • 94. 대지를 고르기 위해 사각형으로 분할(40m × 40m)하고 각 사각형의 모서리의 높이를 구하였더니 그림과 같다. 평탄하게 정지하였을 때 정지면의 높이로 맞는 것은?(단, 정지작업으로 인한 토량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 95. 도로의 수평노선에서 곡선반경이 20m 이고, 접선장의 교각이 30°일 때 곡선장은?

  • 96. 시방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7. 도장(塗裝)공사에 사용되는 도장재료 중 도료의 원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8. 토양의 견지성(consisten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주차방식 중 방향의 변화가 적고, 통로의 폭이 감소될 수 있으나 토지이용 측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방식은?

  • 100. 보행로의 전방공간 설계시 고려사항으로 보행인 영역기포(territory bubble)와 전방공간이 적합한 것은?

6 과목 : 조경관리론
  • 101. ( )안에 알맞은 것은?

    토양 중 유리된 수소이온 농도에 의한 산도를 ( A )이라 하고 치환성 수소이온에 의한 산도를 ( B )라고 한다.

  • 102. 농약의 약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3. 식물에서 광보상점 이하가 되면 나타나는 현상은?

  • 104.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잡초는?

  • 105. 생애주기비용(LCC)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 106.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의 결정인자는 고정인자와 가변인자로 구분된다. 다음 중 고정적 결정인자에 속하는 것은?

  • 107. 자연친화적 저류지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08. 목재 썩음병에 관계하는 중요한 효소는?

  • 109. 다음은 어떤 양분의 결핍시 주로 발생하는 현상인가?

    - 결핍에 대하여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엽록체이다.
    - 활엽수의 경우 잎이 황색으로 변하고 엽맥을 따라 녹색선이 생긴다.
    - 열매는 정상적인 것보다 그 크기가 작다.
    - 침엽수의 경우 철분의 부족현상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 110. 비료를 물에 희석하여 직접 살포하는 것으로, 주로 미량원소의 부족시 그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시비 방법은?

  • 111. 다음 중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서 정하는 공사기간의 연장을 요청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단, 감독자의 승인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 112. 보호살균제(保護殺菌濟)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13. 토양 공극량을 높이고, 답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굵은 골재 중 진흙입자를 약 700℃ 고온처리 한 것으로 연회색을 띠는 것은?

  • 114. 조경 환경관리 중 자연생태계보호 관련 관리 내용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115. 블록포장 산책로의 보수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116. 토양의 풍화작용 중 [보기]와 같은 현상은?

    4FeO + O2 = 2Fe2O3
    Fe(HCO3)2 ⇌ Fe(OH)2 + 2CO2

  • 117. 소나무에 피해를 주는 솔잎혹파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18. 자연 중심형 공원에서 일정 분향의 쓰레기를 수거해 올 경우 여러 가지 사은품을 증정하는 것을 보상제도(Positive incentive)라고 한다. 보상제도의 도입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119. 다음 중 잠복소(潛伏巢) 사용시 방제가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

  • 120. 골프장의 코스관리 지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