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조경기사
영문명 :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조경기능사, 조경산업기사, 조경기사

2. 자격정보

□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조경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생활공간을 아름답게 꾸미고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수행할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8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조경대상지역에 대하여 도시계획과 토지이용 등을 고려하여 조경설계도면을 작성하고, 조경공사 시공에 관한 공사비 적산과 공사공정 계획을 수립.
각종 조경시설의 관리계획수립 및 공사업무의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회사의 조경부서, 조경엔지니어링회사, 조경컨설팅회사, 조경설계용역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음.

- 조경 식자재전문공사업체, 조경시설물 설치전문공사업체, 조경관리업체, 공원(실내, 실외), 학교, 아파트 단지 등의 관리부서, 정원수 및 온실 재배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으로도 취업이 가능.

우대

- 조경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임업직렬의 산림조경, 산림자원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수질, 폐기물 직류,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분야, 시설조경,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조경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7,1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조경학, 원예조경학, 환경조경학, 녹지조경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조경사
2) 조경계획
3) 조경설계
4) 조경식재
5) 조경시공구조학
6) 조경관리론

- 실기

1)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5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80분

- 실기 : 300분

1 과목 : 조경사
  • 1. 고려 말 탁광무가 은퇴한 후 전라도 광주에 조영한 별서 정원은?

    • 1경렴정
    • 2양이정
    • 3몽답정
    • 4문수원
  • 2. 일본의 작정기(作定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회유식 정원의 형태와 의장에 관한 것이다.
    • 2일본에서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랜 비전서이다.
    • 3이론적인 것에서부터 시공 면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 4정원 전체의 땅가름, 연못, 섬, 입석, 작천(作泉) 등 정원에 관한 내용이다.
  • 3. 다음 중 중세 장원제도(feudal system) 속에서 발달된 조경양식의 특징은?

    • 1풍경식의 도입
    • 2내부공간 지향적 정원 수법
    • 3로마시대의 공지 형태를 답습
    • 4성벽을 의식한 장대한 외부 경관의 조성
  • 4.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의 평면구성에서 제시된 도면 순서와 일치하는 것은? (단, ■표시는 카지노를 의미한다.)

  • 5. 일본 비조(飛鳥, 아스카)시대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

  • 6. 개성 만월대(滿月臺)의 조성자와 조성목적으로 옳은 것은?

  • 7. 미국 Central Park의 성립배경과 가장 거리가 먼 사람은?

  • 8. 덕수궁 석조전 앞의 분수와 연목을 중심으로 정원과 가장 가까운 양식은?

  • 9. 풍경식 정원의 이론가이며 18C후 ~ 19C초에 걸쳐 풍경식 정원을 완성한 조경가는?

  • 10. 델 엘 바하리(Deir-el Bahari)의 신원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11. 다음은 한국 전통조경 시설물, 혹은 전통수목과 관련 있는 단어들이다. 이 중 다른 3단어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사우단, 송죽매국, 절우사, 죽림칠현

  • 12. 창덕궁 내 천정(泉井)이 아닌 것은?

  • 13. 1500년대 초에 만들어진 별서 정원으로 담 아래 구멍을 통해 흘러 들어온 물이 나무 흠대를 거쳐 못을 채우고 다시 넘친 물이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꾸며진 곳은?

  • 14. 16세기에 조성된 ‘중국 - 한국 - 일본’의 정원으로 모두 옳은 것은?

  • 15. 미국의 조경발달에 획기적인 영향을 미친 시카고 박람회의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6. 전통정원 연못에 도입된 섬의 형태가 3도형(三島形)이 아닌 곳은?

  • 17. 다음 중 동쪽은 청화원, 서쪽은 근춘원으로 나뉘어 있는 중국의 정원은?

  • 18.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의 정원에 대한 개념 중 틀린 것은?

  • 19. 정원의 조영시기가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 20. 리젠트 파크의 영향을 받아 왕실 수렵원을 시민의 힘으로 공공공원으로 조성한 곳은?

2 과목 : 조경계획
  • 21. 다음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의 주택단지 안의 도로 설명 준 ( )안에 내용이 틀린 것은?

    -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에는 폭 ( A )이상의 보도를 포함한 폭 ( B ) 이상의 도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 해당 도로를 이용하는 공동주택의 세대수가 ( C ) 미만이고 해당 도로가 막다른 도로로서 그 길이가 ( D )미만인 경우 도로의 폭을 4미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 22. 다음 「도로」와 관련된 기준으로 틀린 것은?

  • 23. 도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녹지를 확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지역의 식생 또는 임상(林床)이 양호한 토지의 소유자와 그 토지를 일반 도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을 조건으로 해당 토지의 식생 또는 임상의 유지ㆍ보존 및 이용에 필요한 자원을 하는 것을 내용으로 시장이 하는 계약은?

  • 2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대한 사항으로 맞는 것은?

  • 25. 환경설계에서 연속적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와 관련이 없는 사람은?

  • 26. 1875년 영국에서 불결한 도시주거환경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이 건설되는 주택의 상하수도 시설과 정원 크기 및 주변 도로의 폭 등 주거환경기준을 규제하는 목적으로 제정된 법은?

  • 27. 국토의 용도 구분 중에서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의 명칭은?

  • 28. 계획 및 설계에서 피드백(feed back) 과정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 29. 공원녹지 체계를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0. 옥상정원의 인공지반을 녹화하 때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하중은?

  • 31. 다음 중 I. McHarg가 주로 사용해 정착된 적지 판정법은?

  • 32.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오후 시간대에 태양복사열을 가장 많이 받는 장소는?

  • 33. Berlyne의 미적 반응과정을 순서대로 맞게 나열할 것은?

  • 34.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상 등록체육시설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5. 휴양림 지역 내 진입(進入)도로의 종점(終點)에 설치된 주차장으로 부터 휴양림의 주요시설 입구를 순환,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도로를 가리키는 용어는?

  • 36. 단지 내 보행자 공간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7. 둘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군립공원의 지정ㆍ관리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 관계자는 누구에게 재정 신청을 할 수가 있는가?

  • 38. 고속도로 조경계획 시 가능노선 선정의 고려사항을 도로 이용도와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중 기술적 측면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39. 단지 계획시 「건페율」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0. 세계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과 한국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3 과목 : 조경설계
  • 41. 그림과 같은 투상도는 제 3각법 정투상도이다. 우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2. 친환경적 도시시설 중에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가장 효율적인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음 중에서 자전거 전용도로 설계 시 양측의 여유를 고려한 1차선 폭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지역상황 등에 따라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 43. 경제석 설치시 그 기능이 가장 낮은것은?

  • 44. 물체가 화면에 평행하고 기선에 수직인 경우 1소점 투시도가 되는 투시도의 유형은?

  • 45. 수경시설의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6. 기본설계에서 수행되어지는 과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 47. 조경설계기준상 토지이용 상충지역 완충녹지의 설계로 옳지 않은 것은?

  • 48. K. Lynch 가 주장한 도시경관의 시각적 명료성을 분석하기 위한 5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9. 도면 제조 시 치수선에 수치를 쓸 때 방향이 틀린 것은?

  • 50. 다음에서 대칭 균형 원리의 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51. Leopold가 계곡경관의 평가에 사용한 경관가치의 상대적 척도의 계량화 방법은?

  • 52. 다음 환경지각 이론 중에서 지원성(affordance)의 지각을 내용으로 하는 이론은?

  • 53. 가법혼합(Additive mixture)의 3색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4. 다음 중 균형과 관계있는 용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5. 주택단지ㆍ공공건물ㆍ사적지ㆍ명승지ㆍ호텔 등의 정원에 설치하며, 정원의 아름다움을 밤에 선명하게 보여줌으로써 매력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정원등』의 세부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 56.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57. 다음 재료 표시 시호(단면용)에 해당되는 것은?

  • 58. 다음 중 일반적인 조경설계 과정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59.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 60. 다음 중 운율미(韻律)美)의 표현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4 과목 : 조경식재
  • 61. 도시의 철로 변 식생 중 자연적으로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큰 수종은?

  • 62.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치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 63.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은?

  • 64. 학교조경 설계 시 식물재료의 선정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65.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는 수목이 아닌 것은?

  • 66. 열매는 이과로 타원형이며 반점이 뚜렷하고 지름이 1cm 로 붉은색으로 익으며 9월 중순 ~ 10월 초에 성숙하는 수종은?

  • 67. 수목의 수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8. 다음 중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Siebold &Zucc)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9. 천이(Succession)의 순서가 옳은 것은?

  • 70. 수분 요구도별 식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1. 식재시방서의 식재구덩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2. 다음 양버들(Populus nigra var. italica Koehne) 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3. 식생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4. 식재의 공학적 이용 효과가 아닌 것은?

  • 75. 다음 설명하는 식물은?

    - 꽃고비과이다.
    - 잎은 상록성 다년초로 경질이며 군생한다.
    - 잎은 엽병이 없이 마주나가하며, 길이 8~20mm로서 대개 피침형이지만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껄끄럽다.
    - 광선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가능하다.

  • 76. 수종과 학명(學名)의 연결이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77. 고속도로 사고방지 기능의 식재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78. 수목검사 시 다음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수목 규격의 허용범위는?

    수목규격의 허용치는 수종별로 (   ) 사이에서 여건에 따라 발주자가 정하는 바에 따른다. 단, 허용치를 벗어나는 규격의 것이라도 수형과 지엽들이 지극히 우량하거나 식재지 및 주변 여건에 조화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 79. 백목련을 접목으로 증식시키고자 할 때 대목으로 가장 좋은 것은?

  • 80. 광 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이 가장 낮은 식물은?

5 과목 : 조경시공구조학
  • 81. 배수계획에서 유출량과 강우량과의 비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82. 시방서의 작성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3. 목재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84. 등고선의 성질 줄 틀린 것은?

  • 85. 지름 15cm, 높이 30cm인 콘크리트 원주공시체를 압축강도 시험하였더니 45ton에서 파괴되었다. 이때의 압축강도(kgf/cm2)는 약 얼마인가?

  • 86. 아스팔트로 포장된 폭(幅)이 5m 되는 차도에서 횡단구배를 4% 유지해야 한다면, 도로의 노정(路頂)과 노단(路端)의 수직적인 높이 차이는?

  • 87. 심토층 배수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88. 에폭시수지 도료에 관한 일반사항 중 틀린 것은?

  • 89. 그림과 같은 보에서 지점 A지점 반력의 크기는 몇 kN인가?

  • 90.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단면적의 형태를 퓌하여 구조체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적어 자중이 줄어든 만큼 옹벽 배면의 기초 저판위의 흙의 무게를 보강하여 안정성을 높인 옹벽의 형태는?

  • 91. 2m의 터파기 공사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흙의 휴식각(안식각)은 얼마인가?

  • 92. 하수도시설 기준에서 오수관거 계획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 93. 축척 1/300 도면을 구적기(Planimeter)의 축척 1/600로 맞추고 측정 하였더니 1246m2가 되었다. 실제적인 면적은 얼마인가?

  • 94. 가설시설물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 95. 기본벽돌을 사용하여 0.5B의 두께로 길이 5m, 높이 2m의 담을 쌓으려 할 때 필요한 벽돌량(정미량)은?

  • 96. 다음의 네트워크 공기 45일의 공사공정도이다. 공기를 5일간 단축할 경우 맞는 것은?

  • 97. 자연상태의 모래질흙 1500m3를 6m3 적재 덤프트럭으로 운반하여, 성토하여 다지고자 한다. 트럭의 총 소요대수와 다짐 성토량은 각각 얼마인가? (단, 모래질흙의 토양환산계수는 L = 1.2, C = 0.9 이다.)

  • 98. 토양 조사 분석에서 물리적 특성 분석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99. 목재 방부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0. 공사의 도급금액 결정방식 중 총액도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 과목 : 조경관리론
  • 101. 다음 설명하는 비료 형태는?

    - 물과 작용하면 소화(消和: slaking)되어 수산화칼슘으로 변한다.
    - 주성분 즉 CaO 및 MgO가 최소량으로 80%이어야 한다.
    - 토양산성의 중화와 토양의 물리적 성질 개량에 매우 효과적이다.

  • 102. 침투성 살충제의 작용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103. 수목의 외과수술 시 동공 충진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04. 생태연못의 유지관리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5. 잔디관리 항목 중 배토(Topdressing)를 잘못 설명한 것은?

  • 106. 나무주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7. 실외놀이 및 휴게시설 제작용 재료 중 성형이 용이한 반면 마모되기 쉽고 자외선, 온도의 변화에 의해 퇴색되거나 가장 휘기 쉬운 것은?

  • 108. 식물병의 주요한 표징 중 영양기관에 의한 것은?

  • 109. 참나무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 110. 다음 조경공간의 지주목 및 지주세우기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11. 공원의 이용자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2. 페니트로티온 50% 유제 50cc 를 페니트로티온 농도 0.5%로 희석하려고 할 경우 요구되는 물의 양은? (단, 원액의 비중은 1 이다.)

  • 113. 이식한 나무의 활착율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14. 증기압이 높은 농약의 원제를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 상으로 용기 내에 충전하여 용기를 열 때 유효성분이 대기 중으로 기화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도록 설계된 제형은?

  • 115. 다음 중 일반적으로 전정을 하지 않는 수종은?

  • 116. 다음 중 쥐똥밀깍지벌레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17. 토양의 pH 변화를 억제하는 토양의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18. 청소작업의 할당에 있어서 개인에게 지정된 지역의 청소책임을 지우는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 119. 안전사고 발생시 사고처리 요령 중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 120. 레크레이션(Recreation) 이용의 강도와 특성의 조절을 위한 관리기법 중 직접적 이용제한 방법이 아닌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