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도시계획기사
영문명 :
Engineer Urban Planning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도시계획기사

2. 자격정보

□ 도시계획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도시계획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도시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종합적 디자인 능력을 갖추고 도시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세부 계획 및 개발을 담당할 고급 도시계획 전문가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도시계획분야의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토지의 활용, 물리적 시설을 관리하고 도시 및 전원지역, 지방을 위한 관련 서비스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정책을 권고하는 역할.
도시계획, 도시재개발계획, 특정지역계획 등 국토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계획수립과 그 집행과정에 참여.
인구, 경제, 물리적 시설, 토지이용, 집행관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예측기법을 통해 미래의 인구규모, 경제적 여건 등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원활한 기능수행이 가능한 각종 시설의 배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도면에 계획내용을 나타내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도시 및 지역계획, 국토계획, 교통 관련 엔지니어링회사, 도시설계와 단지계획 그리고 주택지 설계 등을 담당하는 설계회사, 교통정보화 관련 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정부기관의 도시계획직, 교통직 공무원,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관광공사, 수자원공사, 지하철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에 진출 가능.

- 부동산개발회사나 컨설팅업체, 관련 연구소, 민간 건설회사의 개발사업팀, 주택사업팀 등으로도 진출 가능.

우대

- 도시계획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도시계획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5,7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도시계획, 지역계획, 개발사업계획 등 국토 및 도시의 합리적인 개발 및 정비를 위한 계획수립과 그 집행과정에 참여하고 인구, 경제, 환경, 물리적 시설, 토지이용, 집행관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예측기법을 통해 미래의 인구규모, 경제적 여건 등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원활한 기능수행이 가능한 각종 공간 및 시설 배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호화, 가시화하여 도면화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도시계획학, 도시공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 환경공학,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도시계획론
2)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3) 도시개발론
4) 국토 및 지역계획
5) 도시계획관계법규

- 실기

1) 도시계획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 [4시간 정도 : 시험 1(인구추정 등 1시간), 시험 2(도면작성 3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40분

1 과목 : 도시계획론
  • 1. 어느 특정지역이 용도상으로 필요하다고 규정만 해두고 도면상의 배치결정은 유보하는 지역제 기법은?

    • 1부동지역제(float zoning)
    • 2특례조치(special exception)
    • 3혼합지역제(inclusive zoning)
    • 4성능지역규제(performance zoning)
  • 2. 계획이론을 실제적 이론(Substantive Theories)과 절차적 이론(Procedural Theories)로 구분할 때 실제적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다양한 계획 활동에 있어 필요로 하는 분야별 전문 지식에 관한 이론이다.
    • 2도시계획에서 실제적 이론이란 토지이용계획 교통계획 등에 관한 이론이 된다.
    • 3경제 또는 사회의 구조나 현상 등을 설명하고 예측하여 문제의 해결 대안을 제시하는 이론이다.
    • 4계획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에 따라 계획안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 대한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이론이다.
  • 3. 친환경적인 도시개발과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 토지이용 집적을 통해 토지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도시개발을 강조하는 도시는?

    • 1유시티(U-city)
    • 2에코시티(eco-city)
    • 3스마트시티(smart city)
    • 4컴팩트시티(compact city)
  • 4. 우리나라 제2기 (판교, 화성, 김포, 송파 등) 신도시 계획의 특성은?

  • 5.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도시는?

    - 상업도시에 기원을 두고 건설됨
    - 머큐리오(Mercurio) 거리는 32비트
    - 격자형 가로구성과 도로의 포장 및 보도 설치
    - 이중벽으로 둘러싸인 달걀 모양의 도시형태

  • 6. 근대국제건축회의(CIAM)의 아테네헌장(1933)에서 구분된 도시의 활동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rea Planning Support System, KOP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 메소포타미아지방에서 수메르(smer)인의 세운 고대도시국가가 아닌 것은?

  • 9.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의 성립과 변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 경관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1. 도시개발사업의 시행방식에서 토지수용 또는 사용방식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2. 튀넨(Von Thunen)의 지대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3. 다음 조건에서 주거지역 전체 면적은?

    - 계획인구 : 15,000인
    - 단독주택 비율 : 30%, 3인/호, 40호/ha
    - 공동주택 비율 : 70%, 3인/호, 120호/ha

  • 14. 중세도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프리드만(Friedmann)에 의해 발전된 계획이론으로 공익이라고 정의되는 불확실한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과학적 접근방법을 비판하면서 인간적 요소를 강조하여 계획의 집행에 직접 영향을 받는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계획이론은?

  • 16. 실세계(real-world) 형상들을 표현한 지리 데이터베이스로서 불명확하고 특정한 범위가 없는 하나 이상의 공간형상을 다루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실세계 형상을 다루는 모델은?

  • 17. 도시조사에 이용되는 회귀분석도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토지이용계획의 역할과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9. 우리나라 용도지역구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 창조도시와 관련하여 리차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가 주장한 도시의 창조성을 측정하는 3가지 지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 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 21. 도시공원 중 주로 도보권 안에 거주하는 자의 이용에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유치거리 기준으로 옳은 것은?

  • 22. 도로의 종류에서 도로의 사용 및 형태별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3. 다음 중 1980년경 새롭게 등장한 뉴 어바니즘(New Urbanism)에서 지정한 행동강령 기본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4.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 25. 단지계획에 있어 소음 및 진동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26. 다음 중 게토(Ghett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7. 주거단지계획의 목표설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28. 순인구밀도가 250인/ha이고 주택용지율이 70%일 때 총인구밀도는?

  • 29. 건폐율 60% 용적율 540%를 적용할 경우 최대층수는? (단, 각 층의 평면이 동일한 경우이다.)

  • 30.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상업용지의 획지 및 가구계획 기준으로 틀린 것은?

  • 31. 페리(C.A.Perry)가 주장한 근린주구론의 원칙이 아닌 것은?

  • 32. 다음 중 우리나라에 도시설계 제도가 도입된 것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3. 지구단위계획 중 특별계획구역의 지정 대상이 아닌 것은?

  • 34. 다음 중 생활권을 제1차~제3차 생활권으로 구분하였을 때, 제2차 생활권(중생활권)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시설로 가장 적합한 것은?

  • 35. 학교의 결정기준과 관련한 규정상 새로이 개발되는 지역의 경우 몇 세대를 기준으로 근린주거구역으로 하는가? (단, 도시 군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다.)

  • 36.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7. 도시설계제도와 관련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은?

  • 38.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변경하는 경우에 간계행정 기관의 장과의 협의, 국토교통부장관과의 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9. 지구단위계획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0. 경관창조를 위한 공동주택 주거동의 바람직한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과목 : 도시개발론
  • 41. 종합계획적 성격의 도시개발기법은 무엇인가?

  • 42. 다음 중 CM(Construction Manag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도시개발사업을 위한 재원 조달방안인지 지분조달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다음 중 리모델링 사업의 효과가 아닌 것은?

  • 45. 워터프론트(waterfront)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 46. 다음 중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정비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7. 다음 “재개발대상의 공간적 범위”에 따른 재개발의 유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48. 자연발생적으로 성장한 도시에서 낙후되고 노후화된 기존의 도시시설지역의 시설을 보수 확장 새로운 시설을 첨가하는 방법을 통해 도시환경개선을 달성 하려는 개발방식은?

  • 49. 도시 개발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업주체들이 주주로 출자하는 운영 및 경영법인은?

  • 50. 다음 중 계획단위개발(PU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1. 토지자원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것은?

  • 52. 대도시의 무분별한 외연적 확장을 억제하고 쇠퇴하고 있는 기성시가지의 물리적 환경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도시계획 경향을 무엇이라 하는가?

  • 53. 역사보존도시의 필요성 및 의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4. 부동산 마케팅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55. 개발주체에 따른 개발사업의 분류 중 공공개발 사업의 분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 56. 일반적으로 마케팅이 5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려 할 때 , 다음 중 실행단계의 마케팅에 속하지 않는 것은?

  • 57. 도시개발구역 내 토지소유자가 “수용 또는 사용의 방식”으로 시행하는 도시 개발구역의 지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경우 지켜야 할 조건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58. 어느 지역의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다. 이 지역 건설사업의 입지상 계수(LQ)는 얼마인가?

    - 국가전체 고용지수 : 300,000 (인)
    - 국가건설업 고용지수 : 60,000 (인)
    - 지역전체 고용지수 : 10,000 (인)
    - 지역 건설업 고용지수 : 5,000 (인)

  • 59. 다음 중 시장(market) 및 시장분석(market analysis)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0. 민관합동의 부동산개발금융방식인 프로젝트 파이낸셜(P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과목 : 국토 및 지역계획
  • 61. 성장거점이론의 핵심사항인 선도 또는 추진산업(Leading or Propulsive Industry)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62.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3.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일반자동차의 주차 단위구획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 전 문제로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64. 다음 중 시장지향적인 산업들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 65. 크리스탈러(Christaller)의 행정의 원칙에 의한 중심지 구성의 경우 각각의 상위 중심지는 주변의 몇 개의 하위 중심지를 지배하는가?

  • 66. 인간이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제화와 서비스 품목을 최저 소득집단에게 공급해 주고자 하는 지역개발전략은?

  • 67. 다음 중 제 4차 국토종합계호기이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으로 변경된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8. 국토기본법령상 국토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9. 다음이 주장하는 이론은?

    1960년대에 지역경제학자들이 국가경제의 성장모형으로 개발한 모형을 지역간 생산요소의 이동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적인 지역경제의 성장에 적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지역 경제 성장은 노동 자본 기술 등 생산요소의 증가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생산요소가 지역간 이동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지역간 소득격차를 좁힌다.

  • 70. 다음 중 결절지역의 분석에 적용하는 자료로 옳지 않은 것은?

  • 71. 다음 중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와 산업의 분산 및 적정배치를 유도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은?

  • 72. 허쉬만(Hirschman)의 불균형 지역성장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3.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수도권의 과밀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규제수단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4. 지역정책수단으로써 성장거점(growth cen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5. 아래 표와 같은 인구 조건에서의 종주화 지수(primary index)는? (단, 전국의 인구는 2,000만명이다.)

  • 76. 문제지역(Problem Area)의 유형 중 낙후지역 (Backward Regions)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77. 다음 국토 및 지역계획의 수립을 위한 자료 조사방법 중 현지조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8. 지역구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9. 도시A와 도시 B가 있ㄷ. 컨버스의 수정소매인력 이론을 이용한 도시 A로부터 상권분기점까지의 거리는? (단, 도시 A의 인구는 100,000명, 도시B의 인구는 900,000명, 도시 A와 도시 B간의 거리는 200km이다.)

  • 80. 우리나라의 제1차 및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주로 이용되었던 개발방식은?

5 과목 : 도시계획관계법규
  • 81. 주택법 시행령에 따른 공동주택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 82.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환매권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83. 도시 군계획 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도시 군계획 시설결정에 관한 규정으로 틀린 것은?

  • 84.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수도권정비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확정된 추진 계획을 고시하여야 하는 자는?

  • 85. 간선시설의 설치에 관한 아래의 내용에서 ㉠과 ㉡에 해당하는 규모 기준으로 모두 옳은 것은?

    사업주체가 (㉠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호수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또는 ( ㉡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면적 이상의 대지조성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각 호에 해당하는 자는 각각 해당 간선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 86.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및 동법 시행 규칙에 따라 사업시행자가 정비사업을 시행하는 지역에 공동구를 설치하는 경우 이를 관리하는 자는?

  • 87. 관광진흥법상에 정의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88. 택지개발촉진법상 지정권자는 택지개발사업 실시계획을 승인하려는 경우 관계 기관과의 장과 협의토록 규정되어 있는데 이 때 관계 기관의 장은 지정권자의 협의 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의견을 제줄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 전 문제로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89. 택지개발촉진법 시행규칙상 택지개발사업 시행자가 택지를 수의계약으로 공급할 때 1세대당 1필지를 기준으로 얼마의 규모로 1필지를 공급하여야 하는가?

  • 90.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개발제한구역을 관할하는 시 도지사는 몇 년 단위로 개발제한구역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승인 받아야 하는가?

  • 91. 건축법 시행령상 공개공지 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2. 건축법 시행령상 건축물의 용도변경과 관련하여 규정하고 있는 주거업무시설 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3. 다음 중 수도경비계획의 수립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4. 도시 군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도로의 일반적 결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공원 조성계획의 입안권자는?

  • 96. 지구단위계획 구역의 지정대상으로 틀린 것은?

  • 97. 노상주차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8. 개발밀도관리 구역의 지정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99.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으로 정비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개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은?

  • 100. 다음 중 도시 군관리계획으로 수립하는 계획이 아닌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