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도시계획기사
영문명 :
Engineer Urban Planning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도시계획기사

2. 자격정보

□ 도시계획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도시계획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도시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종합적 디자인 능력을 갖추고 도시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세부 계획 및 개발을 담당할 고급 도시계획 전문가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도시계획분야의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토지의 활용, 물리적 시설을 관리하고 도시 및 전원지역, 지방을 위한 관련 서비스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정책을 권고하는 역할.
도시계획, 도시재개발계획, 특정지역계획 등 국토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계획수립과 그 집행과정에 참여.
인구, 경제, 물리적 시설, 토지이용, 집행관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예측기법을 통해 미래의 인구규모, 경제적 여건 등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원활한 기능수행이 가능한 각종 시설의 배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도면에 계획내용을 나타내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도시 및 지역계획, 국토계획, 교통 관련 엔지니어링회사, 도시설계와 단지계획 그리고 주택지 설계 등을 담당하는 설계회사, 교통정보화 관련 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정부기관의 도시계획직, 교통직 공무원,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관광공사, 수자원공사, 지하철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에 진출 가능.

- 부동산개발회사나 컨설팅업체, 관련 연구소, 민간 건설회사의 개발사업팀, 주택사업팀 등으로도 진출 가능.

우대

- 도시계획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도시계획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5,7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도시계획, 지역계획, 개발사업계획 등 국토 및 도시의 합리적인 개발 및 정비를 위한 계획수립과 그 집행과정에 참여하고 인구, 경제, 환경, 물리적 시설, 토지이용, 집행관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예측기법을 통해 미래의 인구규모, 경제적 여건 등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원활한 기능수행이 가능한 각종 공간 및 시설 배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호화, 가시화하여 도면화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도시계획학, 도시공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 환경공학,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도시계획론
2)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3) 도시개발론
4) 국토 및 지역계획
5) 도시계획관계법규

- 실기

1) 도시계획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 [4시간 정도 : 시험 1(인구추정 등 1시간), 시험 2(도면작성 3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40분

1 과목 : 도시계획론
  • 1. 보행자 교통안전에 대한 대책으로 교통의 흐름을 단순화하고 유도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1일방통행
    • 2추월금지
    • 3도류로 표시
    • 4횡단보도 설치
  • 2. 인구성장의 상한선을 두고 있지 않은 도시인구예측모형은?

    • 1지수성장모형
    • 2곰페르츠모형
    • 3로지스틱모형
    • 4수정된 지수성장모형
  • 3. 중세시대 이슬람 사회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시와 국가의 연결이 틀린 것은?

    • 1라바트(Rabat)-모로코
    • 2바스라(Basra)-튀니지
    • 3푸스타트(Fustat)-이집트
    • 4코르도바(Cordoba)-스페인
  • 4. 미래의 도시계획과 관련하여 새로운 계획패러다임의 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A도시의 섬유산업에 대한 입지계수는?

    - 전국의 고용인구 : 5천만명
    - 전국의 섬유산업 종사자수 : 1백만명
    - A도시의 고용인구 : 2백만명
    - A도시의 섬유산업 종사자수 : 5만명

  • 6. 200만m2를 초과하는 다음의 지역 중 공동구 설치의 의무대상이 아닌 곳은?

  • 7. 도시기능별 입지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 뉴어바니즘(New Urbanis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의 수립 기간으로 옳은 것은?

  • 10. 프리드만이 학문적 전통에 따라 사상적 배경을 분류한 계획이론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U-City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2. 계획이론 중에서 약자의 이익을 보호하고 지역주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접근방법인 옹호 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 13. 1999년 제정된 도시개발법의 주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4. 현대적 도시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경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6.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한 독시아디스(C. A. Doxiadis)의 인간 정주사회 단계에 속하는 것은?

  • 1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용도구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해당 토지에 대한 용도지역·지구·구역, 도시계획시설, 도시계획사업과 입안내용, 각종 규제에 대한 저촉여부를 확인하는 내용 및 지적도에 도시계획선을 표시한 도면으로 구성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19. 도시의 일반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20. 국토기본법에 의한 국토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 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 21. 지구단위계획을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 국토교통부장관과의 협의 및 중앙 또는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변경할 수 있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2. 단지계획의 도로망 구성에 있어서 도로의 폭원에 따라 도로를 구분할 때, 중로에 속하지 않는 규모는?

  • 23. 우리나라의 도시설계관련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4. 바람직한 도시경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높이기준이 제시된다. 이 때 최고높이 규제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 25. 전원도시론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6. 건축물의 대지는 몇 m 이상이 도로에 접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단, 자동차만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는 제외한다.)

  • 27. 다음 중 지구단위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는 도시·군계획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8. 산업혁명 이후 발생한 영국의 전원도시 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9. 다음 중 공동구(지하매설물)의 장점이 아닌 것은?

  • 30. 단독 주택지 블록(가구) 구성 시 중앙의 보행자 도로와 녹지를 겹쳐 집약하기에 가장 유리한 국지도로 형태는?

  • 31. 근린주구이론의 가치와 비판론 중 적절치 못한 것은?

  • 32. 기능별 구분에 따른 각 도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3. 다음 중 생활권공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4. 가, 나 지점 사이의 평균 경사도는? (단, 두 지점사이의 수평거리는 500m이다.)

  • 35.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에서의 환경관리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6. 도시·군관리계획과 지구단위계획의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녹지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8. 페리의 근린주구이론에서 근린단위(neighborhood unit)의 규모를 결정하는 구분 기준이 되는 시설은?

  • 39. 다음 중 단지계획의 획지 및 가구구성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0. 구릉지 주택의 획지계획에 있어 일조와 조망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은?

3 과목 : 도시개발론
  • 41.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도시개발에 주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2. 공영개발의 원칙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 43.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다음 중 저당제도와 비교하여 담보신탁제도가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5. TND(Traditional Neighborhood Development)do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6. 인구가 10만 명인 도시에서 다음 조건에 맞게 상업지역의 면적을 산출하면 약 얼마인가?

    - 1인당 평균 연상면적 : 15m2
    - 상업지역 이용인구 : 전체 인구의 50%
    - 평균층수 : 3층
    - 건폐율 : 70%
    - 공공용지율 : 40%

  • 47. 국내 텔레포트단지의 유형 중 순수 통신설비의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8. 다음 중 Miles, Berens and Weiss(2000)의 정의를 바탕으로 하는 도시개발에서의 타당성 분석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9. 공간적으로 밀집된 대도시권들 사이의 경제적 연계를 바탕으로, 거대한 하나의 도시로서 기능하는 도시의 개념은?

  • 50.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의하는 정비 사업의 유형이 아닌 것은?

  • 51. 다음 중 개별 소매점의 고객 흡입력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Reilly와 Converse의 소매 인력이론을 실제 적용가능하게 하려고 수정·보완한 것은?

  • 52. 다음 중 「도시개발법령」에 따른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지역 및 규모기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53. 환지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4. 도시개발사업의 사업성 평가지표인 “수익성 지수(profitability index)”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5. 경제적 개념으로 일단의 다른 토지와 구별되어 가격 수준이 비슷한 토지 군을 뜻하는 것은?

  • 56. 다음 중 운용시장의 형태가 공개시장(public market)이고 자본의 성격이 대출투자(debtfinancing)인 유형에 속하는 부동산 투자는?

  • 57. 「도시개발법」에 아래와 같이 규정한 내용은?

    행정청인 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의 시행으로 사업 시행 후의 토지 가액(價額)의 총액이 사업시행 전의 토지 가액의 총액보다 줄어든 경우에는 그 차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종전의 토지 소유자나 임차권자등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 58. 압축도시(compact c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택지개발촉진법」 상에 규정하고 있는 택지개발사업의 시행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0. 민간이 자금을 투자하여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하면 정부가 일정 운영기간 동안 이를 임차하여 시설을 사용하고 그 대가로 임대료를 지급하는 방식은?

4 과목 : 국토 및 지역계획
  • 61. 그리스의 도시계획가인 독시아디스(Doxiadis)가 제시한 인간정주사회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62. A도시의 인구는 100만, B도시의 인구는 25만이며 두 도시간의 거리가 60km일 때, 두 도시의 세력이 분기되는 지점은 A도시로 부터의 거리가 얼마인가? (단, 두 도시 사이에는 아무런 도시도 입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 63. 사회간접자본시설을 배치함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요소로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것은?

  • 64. 최상위 도시의 인구를 기준으로 도시의 순위와 인구규모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도시 정주체계를 분석한 대표적인 학자는?

  • 65. 안스타인(S. Arnstein)이 주장한 주민참여 8단계에서 주민권 리로서 참여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6. 도종합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7. 다음 중 경제기반이론(Economic Base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8. 우리나라 제1차 국토계획의 성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69. 국토 및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비용·편익분석방법이 있다. 이의 구체적인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 70. 국토계획에서 지역을 획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강조하는 특성 3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1. 다음의 지역개발이론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 72.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서 중심지의 계층을 형성하는 포섭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3. A지역의 한계사회비용이 100만원이고 한계 시회편익이 90만원일 때, 한센(N. Hansen)의 지역구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74. 다음을 목적으로 하는 법은?

    국토를 합리적으로 이용·개발·보전하기 위하여 지방의 발전잠재력을 개발하고 민간부문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지역개발사업이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지방중소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함으로써 인구의 지방정착을 유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켜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75. 수도권정비계획법에서 구분하고 있는 권역의 종류로서 옳지 않은 것은?

  • 76. 어느 지역의 총 고용인구는 500000명이고 비기반부문의 고용인구가 400000명일 때, 이 지역에 외부지역으로의 수출만을 목적으로 하는 기반활동이 새롭게 입지하여 5000명의 고용인구의 증가가 예상된다면, 이 지역의 총 고용인구는 얼마나 증가하는가?

  • 77. 국토기본법령상 국토조사의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8. 수도권으로의 기능 집중에 따른 도시 문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79.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입지특성이나 생산환경의 변화에 따른 추세를 고려하여 지역산업의 전문화 정도를 추계하는 지역산업 성장분석기법은?

  • 80. 콥-더글라스(Cobb-Douglas)의 생산함수에 관한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지역의 1인당 소득 성장률은 기술진보와는 ( ㉠ )의 관계를, 자본증가율과는 ( ㉡ )의 관계를 갖는다.

5 과목 : 도시계획관계법규
  • 81. 노상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일반적인 경우에 한하며 단서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 82. 다음 중 개발밀도관리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3. 다음 중 시장·군수·구청장이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경미한 조성계획의 변경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4. 건축법상 '지하층'이란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 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얼마 이상인 것을 말하는가?

  • 85. 다음 중 도시공원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6. 도시개발법령상 도시개발구역의 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7. 어느 지역에 다음과 같은 조건의 공공청사를 신축할 경우에 올바른 과밀부담금의 산정식은?

    - 건축연면적 : 10000m2 (주차장면적 포함)
    - 주차장면적 : 2000m2
    - 단위면적당 건축비 : 90000원/m2

  • 88. 수도권정비계획의 수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9. 도시개발법에 따른 조합 설비의 인가에 관한 내용 중 ( ) 안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

    조합 설립의 인가를 신청하려면 해당 도시 개발 구역의 토지 면적의 ( ㉠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 소유자와 그 구역의 토지 소유자 총수의 ( ㉡ )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 90. 중심상업지역 안에서의 건폐율과 용적률의 기준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중심상업지역의 건폐율은 ( ㉠ )% 이하, 용적률은 ( ㉡ )% 이상 ( ㉢ )% 이하 이어야 한다.

  • 91. 택지개발사업 시행자는 토지매수 업무와 손실보상 업무를 위탁할 때 토지매수 금액과 손실보상 금액의 얼마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율의 위탁수수료를 지급하여야 하는가?

  • 92. 건축법상의 '대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3. 다음 중 신고 체육시설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4. 택지개발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간선시설의 설치비용을 국가가 50퍼센트의 범위에서 보조할 수 있는 시설은?

  • 95.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하기 위해 지정되는 구역은?

  • 96. 다음 중 개발제한구역에서 허가를 받아 그 행위를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용도변경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 97.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령상 도시첨단 산업단지의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8. 도시개발법상 환지를 정한 토지에 대한 일반적인 청산금 확정시기로 옳은 것은?

  • 99. 국토기본법에 의한 국토정책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0. 부설주차장의 설치 의무가 면제되는 시설물의 위치·용도·규모 및 부설주차장의 규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