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습모드

원하는 과목, 오답노트를 선택하여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단에서 과목을 선택 후 응시해보세요.

실전모드

실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전모드 시작 (150분)

1. 자격요약

자격명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영문명 :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 Informa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 자격정보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토지, 산, 바다 등 수많은 지형과 공간에 대하여 측량을 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건설에 사용되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표의 높이, 특정지점 및 선구역의 설정 및 측정.
건설공사 및 지도제작, 토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측량계획에 따라 계획을 수립하고, 측량할 지역의 지형도 및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기준점을 설정한 후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측량업무를 실시.
지표의 높이, 선구역의 설정 등의 측량작업 후 측량결과를 계산하고 정확성을 검토하여 측량결과서를 작성하는 업무도 수행.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위한 작업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설치, 관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업체, 측량전문업체, 지도제작업체, 지리정보업체, 토목 및 국토개발관련 용역업체에 진출 가능.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우대

- 토목공사현장, 측량업체에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 수로직렬의 수로와 표지 직류, 도시계획과 토목, 측지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대한지적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2%를 가산함.

자격부여

-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측량법시행규칙에 의한 측량업, 성능검사대행자,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사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공사현장 배치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토털스테이션 및 레벨 활용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토목 및 건축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GNSS)
2) 응용측량
3)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 지리정보시스템
5) 측량학

- 실기

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2시간 30분, 60점) + 작업형(1시간 10분 정도, 4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20분

1 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 1. 지구 자기장의 3요소가 아닌 것은?

    • 1앙각
    • 2편각
    • 3복각
    • 4수평분력
  • 2.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만류인력 상수의 변화?
    • 2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 3지질학적 변동
    • 4대기물질분포의 변화
  • 3. GP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

    • 1위성의 시계오차
    • 2위성의 궤도오차
    • 3전리층 지연오차
    • 4관측 잡음오차
  • 4.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보고 적도를 횡축, 자오선을 종축으로 하며 경도를 6°씩 60개의 종대로 나누고, 위도는 8°씩 20개의 횡대로 나누어 표시하는 좌표계는?

  • 5. 해면 위에서 2대의 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항해했을 때 서로 보이는 상호 간의 한계 수평거리는? (단, 속도는 같고 장해물이 없으며 배의 높이는 각각 2m이고 관측자의 눈높이는 배의높이와 같고, 지구곡률 반지름은 6370km, 빛의 굴절계수는 0.14이다.)

  • 6. 위성의 고도각이 낮아지면서 증대되는 오차는?

  • 7. L2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10.23 MHz)의 몇 배인가?

  • 8.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9. 측량의 목적, 지역의 광협, 측량의 정확도 등에 따라서 지구를 구로 보고 그 표면상에서 지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반지름은? (단, M : 자오선의 곡률반지름, N : 묘유선방향의 곡률반지름)

  • 10. GPS 위성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GPS의 정확도가 1ppm이라면 기선의 길이가 20km일 때 GPS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로 정확하게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단, 상수오차(Constant error)는 0임)

  • 12. GPS 수신기에 의해 구해지는 높이 값은?

  • 13. 중력보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4. DGPS 측량방법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5. 관측자가 이동국 GPS만을 운용하며, GPS 상시관측소들로부터 생성된 관측오차보정 데이터를 무선인터넷으로 수신 받아 실시간 정밀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 측량 방식은?

  • 16. 다음 중 위성항법시스템이 아닌 것은?

  • 17. GPS 관측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 18. 우리나라 측지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9. 지자기 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0. 균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과목 : 응용측량
  • 21. 하천측량 중 유속관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2.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3. 그림과 같은 △ABC의 면적을 2등분하기 위한 AE 의 길이는?

  • 24. 토지구획정리측량의 확정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25.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한 1점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6. 그림은 도로중심선 측량도이다. 원곡선의 반지름(R)이 100m, α = 45°, β = 75°, CD = 100m일 때 AC 의 길이는?

  • 27.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대하여 경관을 자연경관, 인공경관, 생태경관으로 분류할 때 자연경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28. 그림과 같이 터널에서 직접 수준측량을 하였을 때 B점의 지반고 HB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 29. 완화곡선으로 사용하는 클로소이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0. 터널 내 수준측량에서 지형이 급경사인 경우 가장 적당한 방법은?

  • 31. 하천의 폭이 200~500m일 때 하천종단측량의 간격 표준은?

  • 32. 터널측량에서 지표 중심선 측량방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 33. 선박에서 음향 측심기로 음파를 발신하여 수신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0.1초이었다면 수심은? (단, 해수 중의 음파속도는 약 1500m/s이며, 수면에서 송ㆍ수파기까지의 길이는 3m이다.)

  • 34. 어떤 하천에서 BC 를 따라 그림과 같이 심천측량을 실시할 때 P점에서 ∠APB를 관측하여 39°20'을 얻었다면 BP의 거리는? (단, AB = 73m)

  • 35. 계산된 완화곡선의 편경사(cant)가 C일 때, 계산시 사용한 속도와 반지름을 모두 2배로 하면 캔트는 몇 배가 되는가?

  • 36. 100m2 정사각형 토지의 면적을 0.2m2 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서는 1변의 길이를 최대 몇 cm 까지 정확하게 관측하여야 하는가?

  • 37. 노선측량의 단곡선 설치시 교각 60°, 곡선 반지름 100m, 곡선 시점은 No.10+15m일 때 도로기점에서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는? (단, 중심 말뚝간격 20m)

  • 38. 사각형 형태의 부지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 그 지점의 표고를 관측한 결과를 이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은?

  • 39. 그림과 같은 지형의 면적은? (단, 단위는 m이다.)

  • 40.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반지름 R=100m, 교각 I=30°일 때 다음의 곡선요소 값으로 옳은 것은? (단, C.L. : 곡선장, L : 장현)

3 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41. 초점거리 150mm, 사진의 크기 23cm×23cm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고도 4500m에서 평지에 대한 연직사진을 획득하였다. 서로 이웃하는 2장의 사진에서 주점 간의 거리를 1:25000 지형도 상에서 측정하니 96.6mm이었다면 두 사진의 종중복도는?

  • 42. 초점거리가 서로 다른 2대의 사진기로 취득한 2장의 사진에 대해 공선 조건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3. 비행기의 운항속도 180km/h, 촬영고도 3000m, 렌즈의 초점거리 210mm, 허용 흔들림 0.02mm로 촬영 계획을 할 때 최장 노출시간은?

  • 44.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5. 영상의 재배열 방법 중 주위 16개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방법은?

  • 46.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에서 반사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 47. 항공사진을 입체시 할 경우 발생하는 과고감과 관련이 없는 요소는?

  • 48. 촬영고도 1500m에서 평탄지를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두 사진 상에서 2점간의 시차차를 측정하니 4mm이었다면 이 2점간의 비고차는? (단, 카메라의 초점거리 153mm, 종중복도 60%,사진이 크기 23cm×23cm)

  • 49. 원격탐사(Remote Sens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0. 도화축척, 항공사진축척, 화소의 지상표본거리(ground sample distance)간의 관계가 틀린 것은?

  • 51. 해석적 절대표정을 수행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관측방정식 개수는?

  • 52. 원격탐사 영향을 이용한 분류에서 비교적 성질이 유사한 특징을 가진 자료를 그룹화하는 방법은?

  • 53. 동서 26km, 남북 8km인 지역을 축척 1:30000의 항공사진으로 촬영할 때 입체모델 수는? (단, 23cm×23cm의 광각사진이고, 종중복도 60%, 횡중복도 30%이다. 엄밀법으로 계산하고 촬영은 동서 방향으로 한다.)

  • 54. 사진측량에서 Z좌표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55.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을 선정할 때의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6. 항공영상 촬영 시 도심지에 발생하는 폐색지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 57. 편위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8. 항공삼각측량의 오차조정 방법 중 해석적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9. 항공사진과 지도의 투영방법으로 옳은 것은?

  • 60. 축척 1:5000 항공사진을 1200dpi로 스캔한다면 지상해상도의 크기는?

4 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 61. 다음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성요소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이것을 구축하는 작업은 비용 및 시간에 있어 GIS 사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 이것의 품질은 GIS를 통해 생성되는 최종 결과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62. T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3. 부울(Boolean) 논리를 적용한 레이어의 중첩에서 그림의 빗금친 부분과 같은 논리연산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64. 메타데이터(metadata)에 속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진 것은?

  • 65. 지하시설물을 측량하여 구축하는 절차로 옳은 것은?

    ㉠ 조사 및 탐사
    ㉡ 작업계획 및 준비
    ㉢ 시설물의 위치측량
    ㉣ 지하시설물 원도 작성
    ㉤ 대장조서 및 속성DB 작성
    ㉥ 도면제작편집
    ㉦ 정위치 및 구조화 편집

  • 66. 지리정보로 거리가 먼 것은?

  • 67.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실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개체(feature)를 지리정보시스템 (GIS)에서 활용 가능한 객체(object)로 변환하는 과정은?

  • 69. 지형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지형을 일정한 격자로 나누어 높이 값을 기록하는 방식은?

  • 70. 수치지형도의 수시수정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7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구비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 및 속성자료 분석기능 중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객체를 합쳐서 상위수준의 클래스로 만드는 기능으로써 대축척 지도로부터 소축척 지도를 만드는 과정에도 적용되는 기능은?

  • 73. 아래와 같은 조건을 이용하여 산행시간을 구하고자 한다. 산 입구에서 정상까지의 산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 74. 네트워크 및 인터넷의 발전과 활용에 힘입어 Web GIS 및 Open GIS가 각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2년부터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오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Open API) 방식으로 일반인에게 제공하여 활용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 시스템의 명칭은?

  • 7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 76. 수치표고모델(DEM)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 77. 격자(Raster)구조에서 벡터(Vector)구조로 변환하는 벡터화에 대한 일반적인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가. 노이즈 제거 (noise removal)
    나. 후처리 단계 (post processing)
    다. 세선화 (thinning)
    라. 벡터화 단계 (vectorization)

  • 78. 수치지도 작성을 위한 자료의 취득 방법으로 틀린 것은?

  • 7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관망(Network) 분석기능을 이용하는 사례로 거리가 먼 것은?

  • 80.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에서 제정한 웹 GIS 표준이 아닌 것은?

5 과목 : 측량학
  • 81. 축척 1:500 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축척 1:2500의 지형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1:2500 지형도 1도엽은 1:500 지형도를 몇 매 포함한 것인가?

  • 82. 그림과 같이 “사과길”로부터 은행건물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자 다음과 같은 측량결과를 얻었다. CD의 거리는? (단, ∠EAB=62°, AB=8m, BC=10m, ∠ABC=∠ADC=90°)

  • 83. 길이 48m의 기선을 장력 15kg으로 관측하였다. 관측한 쇠줄자의 단면적 A는 0.129cm2이고, 탄성계수 E = 2.1×106kg/cm2, 표준장력은 10kg이다. 장력에 대한 보정량은?

  • 84. 지형의 표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5. 1회 거리측정에서의 정오차가 ε이라고 하면 같은 상황에서 같은 기기로 4회 측정하였을 경우 생기는 정오차의 크기는?

  • 86. 동일 조건으로 기선측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최확값은?

    A = 98.475 ± 0.015m
    B = 98.464 ± 0.030m
    C = 98.484 ± 0.045m

  • 87. 수평거리 28km에 대한 굴절에 의한 오차는? (단, 굴절계수는 0.14, 지구의 곡률반지름은 6370km)

  • 88. 삼각점 A에 기계를 세워 삼각점 B가 시준되지 않으므로 P점을 관측하여 ∠DAP = T' = 68°31'14"를 얻었다면 ∠DAB는? (단, e=5m, S=140m, φ=300°13'40")

  • 89. 수준측량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0.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1. A점에서 2km 떨어져 있는 B점을 관측할 때 각도에서 15"의 각 오차가 있다면 B점에서의 위치오차는?

  • 92. 다음 중 삼각망의 정확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 93. 트래버스의 조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4. 폐합트래버스측량을 한 결과, 측선길이의 합이 267.172m, 위거의 합이 +0.011m, 경거의 합이 -0.024m일 때 폐합오차와 폐합비는?

  • 95.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벌칙으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96. 기본측량성과 및 공공측량성과의 고시는 최종성과를 얻은 날부터 며칠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 97. 공공측량 실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8. 5년마다 수립하게 되어 있는 측량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9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의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 100.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