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습모드

원하는 과목, 오답노트를 선택하여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단에서 과목을 선택 후 응시해보세요.

실전모드

실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전모드 시작 (150분)

1. 자격요약

자격명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영문명 :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 Informa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 자격정보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토지, 산, 바다 등 수많은 지형과 공간에 대하여 측량을 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건설에 사용되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표의 높이, 특정지점 및 선구역의 설정 및 측정.
건설공사 및 지도제작, 토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측량계획에 따라 계획을 수립하고, 측량할 지역의 지형도 및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기준점을 설정한 후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측량업무를 실시.
지표의 높이, 선구역의 설정 등의 측량작업 후 측량결과를 계산하고 정확성을 검토하여 측량결과서를 작성하는 업무도 수행.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위한 작업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설치, 관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업체, 측량전문업체, 지도제작업체, 지리정보업체, 토목 및 국토개발관련 용역업체에 진출 가능.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우대

- 토목공사현장, 측량업체에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 수로직렬의 수로와 표지 직류, 도시계획과 토목, 측지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대한지적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2%를 가산함.

자격부여

-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측량법시행규칙에 의한 측량업, 성능검사대행자,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사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공사현장 배치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토털스테이션 및 레벨 활용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토목 및 건축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GNSS)
2) 응용측량
3)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 지리정보시스템
5) 측량학

- 실기

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2시간 30분, 60점) + 작업형(1시간 10분 정도, 4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20분

1 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 1. 장반경이 6378532m, 단반경이 6356752m인 타원체의 편평률(flattening)은?

    • 1398.25
    • 2297.25
    • 30.003426
    • 40.003415
  • 2. 다음 중 지리좌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측지위도
    • 2경도
    • 3시간
    • 4높이
  • 3. 다음의 GNSS 측위 중 가장 높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 1정지 측위
    • 2키네마틱 측위
    • 3RTK 측위
    • 4단독 측위
  • 4. 모호정수(cycle ambiguity)를 결정하여 고정해(fixing solution)를 산출하는 이유는?

  • 5. GNSS 수신기의 기종은 달라도 수신된 관측 자료를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형식(format)으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자료 형식은?

  • 6. 중력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 관측점 사이의 고도차에 존재하는 물질의 인력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보정은?

  • 8. 다음 중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위한 실시간 위치결정과 거리가 먼 것은?

  • 9. 항공측량부분의 GNSS 응용에서 GNSS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촬영비행기의 위치를 구하는 데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 10. D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 양극(남극, 북극)의 좌표를 표시하기 위해 고안된 독립된 좌표계는?

  • 12. L2 반송파의 주파수가 약 1.2GHz 라고 할 때, L2 반송파의 파장은? (단, 빛의 속도는 3.0×108m/s 이다.)

  • 13. 지구 표면의 거리(지름) 100km 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했다면 허용 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이다.)

  • 14. GNS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5. 우리나라에 설치된 수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6. 자기장(H)의 단위와 관계가 없는 것은?

  • 17. GNSS에서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 18. 지자기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9. 해안선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것은?

  • 20. 구면삼각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과목 : 응용측량
  • 21. 도로 기점으로부터 1500m 지점에 교점이 있고, 반지름 R=100m, 교각 I=90°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는?

  • 22. 하천측량에서 관측한 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3. 2500m2의 정사각형 면적을 ±0.1m2까지 정확히 구하기 위하여 관측하여야 할 한 변의 최대 오차는?

  • 24. 하천의 심천측량(深淺測量)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5. 터널 내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중심말뚝으로 차량 등에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은?

  • 26. 지하시설물 측량의 대상이 아닌 것은?

  • 27. 단곡선에서 교각 I=90°, 외할 E=82.84m일 때, 곡선길이(C.L)는?

  • 28. 다음 중 경사 약 30°의 경사 터널의 시점과 종점의 고저차를 가장 정밀하고 간편하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은?

  • 29.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

  • 30. 경관평가를 규정하는 기본적인 요소에서 시점과 주시대상물의 위치계수를 결정하는 수평경관각 10° θH≦30°의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1. 그림과 같은 구릉지에서 5m 간격의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단면적이 A1=3800m2, A2=1900m2, A3=1800m2, A4=850m2,A5=350m2이라 할 때 각주공식에 의한 구릉지의 토량은?

  • 32. 터널측량의 순서 중 중심선을 현지의 지표에 정확히 설치하고 터널 입구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 33. 양단면 평균법에 따라 체적을 구하고자 한다. 두 단면 A1=25m2, A2=40m2와 구간거리 ℓ=20±0.2m을 측정하였을 때, 체적오차는? (단, 면적의 오차는 무시)

  • 34. 클로소이드 곡선의 반지름 R=20m, 곡선길이 L=5m일 때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는?

  • 35. 교각 I=60°, 곡선 반지름 R=150m, 노선의 기점에서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221.60m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

  • 36. 그림과 같이 상향 기울기 5/1000, 하향 기울기 35/1000이고 반지름 3000m인 종단곡선 중에서 만날 경우 곡선시점(A)에서 40m 떨어져 있는 점의 종거 y2는?

  • 37. 수로가 비교적 직선이고 단면적도 규칙적이며 하상이 평평한 상태에서의 평균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8. 지거간 간격이 5m로 같고, 각 지거가 y1=2.8m, y2=9.4m, y3=11.6m, y4=13.8m, y5 = 6.4m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은? (단, Simpson 제1법칙에 의한다.)

  • 39. 곡선반지름 200m의 곡선에 캔트 0.38m를 붙인 노선의 설계속도는? (단, 레일간격 D=1.067m)(중력가속도(g):(9.8m/sec)

  • 40. 달, 태양 등의 기조력과 기압, 바람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해수면의 주기적 승강현상을 연속 관측하는 것은?

3 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41. 한 코스에 대하여 한 개의 촬영점으로부터 다음 촬영점까지의 종방향 실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 42. 전자기파의 파장대를 파장이 짧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43. 절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다음 중 탑재된 센서로 경사관측이 불가능한 위성은?

  • 45. 고해상도 전정색(흑백) 공간영상자료와 저해상도 다중분광(컬러) 공간영상자료를 배합하여 고해상도 컬러영상을 제작하는 해상도병합(Resolution Fusion)기법이 아닌 것은?

  • 46. 사진의 표정을 위해서 인위적인 기준점인 대공표지를 지상에 설치할 때 사진상에서 대공표지의 일반적인 크기는?

  • 47. 광각사진기를 이용하여 수직 촬영한 경우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건물의 높이는? (단, 촬영고도=500m, r=10cm, △r=1cm)

  • 48. 격자형(Raster) 지리공간자료의 저장 포맷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49. 평탄한 지형이 촬영된 연직사진에서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mm, 사진 크기 23cm×23cm, 종중복도 60%인 경우의 기선고도비는? (단, 사진의 축척은 1:10000 이다.)

  • 50. 과고감(vertical exagge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1.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을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경우, 사진 3장이 중복된 부분에서 2점에 대한 지상좌표와 각각의 사진좌표를 측정할 경우 생성되는 공선조건식의 수는?

  • 52. 초점거리 15.0cm의 사진기로 지표면으로부터 촬영고도 36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의 축척은?

  • 53. 다음 중 촬영된 한 장의 사진 내에서 사진축척의 변화량이 최소가 되기 위한 조건은?

  • 54. 원격탐사에서 SAR와 같은 능동형 센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55.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 56. 입체시를 할 때 계곡이 솟아오른 능선으로 보이고, 산봉우리가 폭 꺼진 분지로 보이는 경우는?

  • 57. 항공사진을 스캐닝 하여 영상을 만들고자 한다. 축척 1:25000의 항공사진을 스캐닝하여 영상화소(pixel)하나의 공간해상력이 26.5cm가 되도록 하려면 스캐닝 해상력(dpi)은 얼마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 58. 정사투영사진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항공사진측량을 통한 정밀지형도 작성을 위하여 필수적인 자료가 아닌 것은?

  • 60. 카메라의 초점거리 153mm, 촬영경사 3grade로 평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이 사진에서 주점으로부터 최대 경사선 상의 등각점까지의 길이는?

4 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 61.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되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 모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 6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특성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 63.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수치지형도 제작과정으로 옳은 것은?

  • 64. 보다 적은 자료량으로 지형지물의 특성을 간편하게 표현하기 위해 선형의 특징 점을 남기고 불필요한 버텍스(vertex)를 삭제하는 일반화 기법은?

  • 65. 종이지도를 수치지도와 벡터 기반의 중첩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66. 여러 개의 레이어를 이용한 공간분석 기능을 수행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사용한 공간분석 편집 기능으로 옳은 것은?

  • 67. 공간정보의 표현기법 중 래스터데이터(Raster data)의 특징이 아닌 것은?

  • 68.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의 유통과 변환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포맷 등 형식을 동일한 방식으로 규정하는 것은?

  • 69. 구축한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샘플링 하여야 한다. 모집단을 보다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러한 각층으로부터 단순 무작위표본추출을 하는 방법은?

  • 70. 선형 벡터 데이터 구조가 아닌 것은?

  • 71. 그림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단비용경로 계산의 사례이다. A점에서 출발하여 G지점에 도착하는 최소비용경로는?(단, 숫자는 지점 간 소요비용)

  • 72. 격자자료를 압축저장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73. 종이도면을 디지타이징할 때 발생하는 오류 중 지적필지가 아니면서 경계부분에서 조각부분이 발생하여 필지로 오인되는 형태의 오류는?

  • 74. 도형의 위상관계 성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5.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토지자원에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분석체계는?

  • 76. 다음은 수치지도 ver 1.0 및 ver 2.0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 수지지도 ver 1.0 : 지리조사 및 현지측량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도화데이터 또는 지도 입력데이터를 수정, 보완하는 (   ) 편집 작업이 완료된 수치지도이다.
    - 수치지도 ver 2.0 : 데이터간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   )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는 (   ) 편집 작업이 완료된 수치지도이다.

  • 77. <입력 값>을 이용하여 <출력결과>를 얻기 위한 비교연산자로 옳은 것은?

  • 78.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 입력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 것은?

  • 79. 이미 알고 있는 값을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지점에 대한 속성값을 추정하는 Spline, Kriging 등의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80. 불규칙삼각망(T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과목 : 측량학
  • 81. 표와 같은 폐합트래버스 측량결과에서 BC의 위거와 경거의 누락되었다면, BC의 거리는? (단, 오차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 82. 전파거리측량기보다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로 틀린 것은?

  • 83. A와 B 두 지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1), (2) 및 (3)의 각각의 노선을 따라 직접 수준 측량을 실시하여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점간 높이차의 최확값은?

  • 84. 그림과 같이 편심관측을 하여 S1=2000m, S2=1000m, e=0.1m, T′=120°, ψ=330°의 결과를 얻었을 대, X1, X2는?

  • 85. 댐의 집수구역 표시로 가장 적합한 것은?

  • 86. 전자기파 거리측량기의 거리관측오차 중, 거리에 비례하는 오차는?

  • 87. 같은 경중률로 어느 두 점의 거리를 10회 측량한 결과, 평균값이 100.45m이고, 잔차제곱의 합이 0.0579m, 잔차의 합이 -0.10m이었다면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 88. 삼각 및 삼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9. 거리관측에 있어서 표준자보다 3cm 줄어든 50m의 줄자를 사용하여 관측한 결과가 600m이었다면 실제 거리는?

  • 90.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1. 직육면체인 저수탱크의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관측 결과가 다음과 같을때 부피오차는? (a=40.00m±0.05m, b=10.00m±0.03m, h=20.00m±0.02m)

  • 92. 수준측량에서 전시거리와 후시거리를 같게 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 93. 축척 1:300 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같은 크기의 축척 1:5000지형도를 만들 때 필요한 축척 1:300 지형도는?

  • 94. 경사면을 따라 거리를 관측할 때 경사에 의한 최대 오차가 1/1000 이라면, 경사각(α)의 최대 허용 오차는?(단, 경사에 의한 최대 오차=BB′/AB=1/1000)

  • 95. 해양의 수심・지구자기・중력・지형・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으로 정의 되는 것은?

  • 96. 기본측량성과의 국외반출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97.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은 공공측량성과 심사의 신청을 받은 때에는 접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심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특정한 경우에 통지기간을 10일의 범위에서 연장할 수 있는데, 이 특정한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98. 측량기기의 성능검사 대상과 주기로 옳은 것은?

  • 99. 측량업자로서 속임수, 위력, 그 밖의 방법으로 측량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 100. 공공측량 측량성과의 고시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