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습모드

원하는 과목, 오답노트를 선택하여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단에서 과목을 선택 후 응시해보세요.

실전모드

실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전모드 시작 (150분)

1. 자격요약

자격명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영문명 :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 Informa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 자격정보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토지, 산, 바다 등 수많은 지형과 공간에 대하여 측량을 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건설에 사용되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표의 높이, 특정지점 및 선구역의 설정 및 측정.
건설공사 및 지도제작, 토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측량계획에 따라 계획을 수립하고, 측량할 지역의 지형도 및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기준점을 설정한 후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측량업무를 실시.
지표의 높이, 선구역의 설정 등의 측량작업 후 측량결과를 계산하고 정확성을 검토하여 측량결과서를 작성하는 업무도 수행.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위한 작업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설치, 관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업체, 측량전문업체, 지도제작업체, 지리정보업체, 토목 및 국토개발관련 용역업체에 진출 가능.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우대

- 토목공사현장, 측량업체에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 수로직렬의 수로와 표지 직류, 도시계획과 토목, 측지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대한지적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2%를 가산함.

자격부여

-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측량법시행규칙에 의한 측량업, 성능검사대행자,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사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공사현장 배치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토털스테이션 및 레벨 활용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토목 및 건축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GNSS)
2) 응용측량
3)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 지리정보시스템
5) 측량학

- 실기

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2시간 30분, 60점) + 작업형(1시간 10분 정도, 4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20분

1 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 1. 사이클 슬립(cycle slip)이 발생하는 경우와 거리가 먼 것은?

    • 1높은 지대로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측량을 하는 경우
    • 2태양폭풍에 의해 전리층이 교란된 경우
    • 3수신기를 갑자기 이동한 경우
    • 4신호가 단절된 경우
  • 2.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위성 고도계에서 관측하는 관측값은?

    • 1위성에서 송신한 신호가 해수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
    • 2위성과 해상의 목표물과의 거리
    • 3위성과 해상의 목표물과의 각도
    • 4위성에서 촬영하는 영상
  • 3. GP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측정위치가 세계적으로 통일된 좌표로 표시된다.
    • 2넓은 지역의 측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3직접 측정되어 얻는 결과는 정표고이다.
    • 4몇 개의 기지점과 미지점의 동시관측으로 상대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4.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 지구의 자기장 변화와 거리가 먼 것은?

  • 6. GPS 절대측위에서 HDOP와 VDOP가 2.3 과 3.7 이고 예상되는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가 ±2.5m일 때 예상할 수 있는 수평위치 정확도(σH)와 수직위치 정확도(σV)는?

  • 7. GNSS 측량시 시계오차가 소거된 3차원 위치 결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 위성의 수는?

  • 8. 통합기준점 측량을 위한 GNSS 관측 데이터의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 지자기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0. 위도 80°이상의 양극지역의 좌표를 표시하는데 쓰이며 극심 입체 투영법에 의한 좌표는?

  • 11. 구면삼각형 ABC의 세 내각이 ∠A=50°20´, ∠B=66°55´, ∠C64°25´ 일 때 면적은? (단, 지구반지름은 6370km이다.)

  • 12. UTM좌표계에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UTM도엽 중 52S 구역의 원점은?

  • 13. 측량의 분류 중 측량 구역이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필요로 하는 정밀도에 따라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측량을 무슨 측량이라고 하는가?

  • 14. 중력이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GNSS의 상대측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6. 지구상의 어느 한 점에서 타원체의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 두 법선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 17. GPS에서 전송되는 L 대의 신호 주파수가 1227.60MHz일 때 L2 신호 300000 파장의 거리는? (단, 광속(c) = 299792458 m/s 이다.)

  • 18. 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9. 물리학적 측지학에 해당 되는 것은?

  • 20. 균시차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2 과목 : 응용측량
  • 21. 노선의 중심말뚝(간격20m)에 대해서 횡단측량 결과 단면1의 면적이 208m2, 단면2의 면적은 1326m2 일 때 두 단면간의 토량은?

  • 22. 곡선반지름 R=400m, 곡선길이 L=100m인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A)는?

  • 23. 지상에서 4km2 면적이 도면상에서 1600cm2 이었다면 도면의 축척은?

  • 24. 넓은 지역의 정지나 매립과 같은 경우의 토공량 산정 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은?

  • 25. 항공사진판독에 의한 해안선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6. 터널 내의 두 점의 좌표가 A(-70.20, -81.00),B(110.50, 135.20)이고 높이가 각각 32.40m, 121.20m인 A, B점을 연결하는 터널을 굴진하는 경우 이 터널의 사거리는? (단, 좌표의 단위는 m 이다.)

  • 27. 교각 60°, 곡선반지름 100m인 원곡선에서 이 원곡선의 시점을 움직이지 않고 교각을 100°로 증가시켜 새로운 원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길이의 변화가 없다면 새로운 원곡선의 반지름은?

  • 28.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9. 터널 내 측량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30. 각 구간의 평균유속이 표와 같은 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하천의 유량은?

  • 31. 수로측량 원도의 작성에 이용되는 도법은?

  • 32. 하천측량에서 수위관측소를 설치할 경우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 33. 종단곡선의 설치에서 상향기울기가 10/1000, 하향기울기가 30/1000, 반지름 3000m인 원곡선을 설치할 때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 34. 그림에서 AP, PB 사이에 단곡선을 설치할 때 ∠APB의 2등분선상의 Q점을 곡선의 중점으로 하는 이 곡선의 접선길이는? (단, Q=20m, 교각(1)=40°20´)

  • 35. 면적계산방법 중 도상거리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36.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

  • 37. 노선측량에서 그림과 같이 단곡선을 설치할 때 AC의 거리는? (단, I=70°, 곡선반지를 R=50 m)

  • 38.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하여 수심H인 수면으로부터 0.2H, 0.4H, 0.6H, 0.8H인 곳의 유속을 측정하였더니, 각각 0.85m/s, 0.72m/s, 0.66m/s, 0.51m/s 이었다. 이때 3점법의 의하여 산출한 평균유속은?

  • 39. 하천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로서 옳은 것은?

  • 40. 지하에 설치된 상·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 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3 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41. 항공사진의 기본변위와 관계없는 것은?

  • 42. 도화기로 등고선을 그릴 때 등고선의 높이 오차를 5m 이하로 하려면 측정하는 시차차의 오차는 최대 몇 mm 이하이어야 하는가? (단, 사진축척=1:30000, 사진크기=23cmx23cm, 사진의 중복도=60%, 초점거리=150mm)

  • 43. 다음 중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제작 할 때 가장 활용도가 높은 영상은?

  • 44. 비행속도가 200km/hr인 항공기로 축척 1:20000의 사진을 종중복도 60%로 설정하여 촬영하기로 계획을 수립했다. 이때 동일한 조건에서 종중복도만 80%로 변경하였다면 인접사진 간의 촬영시간 간격(최소노출시간)은 초기 계획 촬영시간 간격의 몇 % 가 되어야 하는가?

  • 45. 대공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6.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

  • 47. 위성영상 구매 시 메타데이터(Meta Data)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는?

  • 48. 항공사진 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9. SAR(Synthetic Aperture Rada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0. 수치정상영상(digital ortho image)을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 51.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가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을 수직으로 촬영하였다. 사진상에서 연직점으로부터 어떤 건물의 정상까지 길이가 39 mm, 이 건물의 하단으로부터 정상까지의 변위량이 1.3 mm이었다면 건물의 높이는?

  • 5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 입력과정에서 다른 수치지도와 벡터기반의 중첩분석을 위해 기존 인쇄된 지도를 입력하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

  • 53. 항공 라이다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54. 조정집성 영상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사진은?

  • 55. 감독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로 확률을 기초로 각 밴드 내의 클래스에 대한 훈련자료 통계가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가정하고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 56.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평지를 촬영 하였을 때 주점기선의 길이가 80.5mm 이었다면 인접사진과의 종중복도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cmx23cm 이다.)

  • 57. 번들조정법(광속조정법)에서 적용하는 기본 수학모형식은?

  • 58.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9. 사진의 표정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60. 사진축척 1:10000, 사진의 크기 23cmx23cm인 항공사진의 사진1장에 포괄되는 실제면적은?

4 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 61.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 62.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63. 연속수치지형도를 제작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64. 공간좌표 변환에 사용되는 Affine 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5. 버퍼(buff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6.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구축한 데이터의 위치와 실제 검측한 위치가 아래 표와 같을 때 GIS 데이터의 거리 오차는?

  • 67. 대상물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 시 일반적인 도형 정보 표현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8. 공간자료와 자료처리의 개방성과 상호운용성을 목적으로 1994년 결성되었고 GIS 시장 확대를 위해 GIS 소프트웨어 공급자 중심의 국제 표준을 마련하는 기관은?

  • 69. 불규칙 삼각망(TIN)에 의해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0.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기능에 대한 설명 중 관계가 옳은 것은?

  • 71. 조직 내 많은 부서가 공동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서버기술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통합시기는 GIS 환경은?

  • 72.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의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가 아닌 것은?

  • 73. 부울연산(Boolean)을 이용한 지리 속성정보의 추출 방법이 아닌 것은?

  • 74.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 75.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 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6. 지형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지의 3차원의 좌표를 취득하여 불규칙한 지형을 기하학적으로 재현하고 수치적으로 해석하므로 토공량 산정, 노선선정, 택지조성 등에 이용되는 것은?

  • 77.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 형태 중 래스터 데이터 모델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 79. 속성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참조데이터와 샘플데이터를 정리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전체 정확도는?

  • 80.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래스터자료의 압축기법이 아닌 것은?

5 과목 : 측량학
  • 81. 삼각측량에서 삼각점의 위치 선정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2. A, B의 좌료가 각각 (125.32m, 236.22m)와 (-23.1.11m, -120.21m)일 때 B의 방위각은?

  • 83. 트래버스측량의 각 관측에서 오차가 생겼을 때, 허용범위 안에 있을 경우의 오차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4.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5.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관측하기 위하여 B점에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53.85m인 P점에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1.28m를 얻었다. 50.25m인 등고선 위의 A점을 정하려면 시준하여야할 표척의 높이는?

  • 86. 그림과 같이 교호수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a1=1.465m, a2=0.308m, b1=2.737m, b2=1.584m, A점의 표고=56=867m이었다면 B점의 표고는?

  • 87. 수준측량에서 전시만 읽는 점으로 다른 점의 지반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 88. 수평각 관측에서 수평축과 시준축이 직교하지 않음으로써 일어하는 각 오차의 소거방법으로 옳은 것은?

  • 89. 최소제곱법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오차는?

  • 90. 전체 측선의 길이의 합이 900m인 다각형에 폐합비를 1/600로 한다면 축척 1;500 도상에서 혀용 폐합오차는?

  • 91. 그림과 같이 삼각형에서 A점과 B점의 좌표가 각각 (1000m, 1000m), (1500m, 1400m)이고 a=1500,00m, b=1200.00m 일 때, 삼변측량을 위한 관측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 92. 다음 중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없는 측량장비는?

  • 93. 축척 1:25000의 지형도에서 기울기가 4%인 지역의 주곡선 간의 도상 수평거리는?

  • 94. 강철테이프에 의한 거리측정값의 보정에 있어서 처짐에 대한 보정량 계산과 관계가 없는 요소는?

  • 95. 공공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6. 측량기준점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할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 97. 수로서지(水路書誌)에 해당하는 서지류(書誌類)가 아닌 것은?

  • 98.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이 심사결과의 통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에서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 것은?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수립 저장·가공·분석·표현할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및 인적 자원의 결합체를 말한다.

  • 100. 측량기기의 검사주기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